제조업 가동률 70% 초반 그쳐
한국개발연구원(KDI)은 4일 “수출 여건이 좋지 않아 앞으로도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경기와 관련해서는 수출 부진이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세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진단했다.
KDI는 이날 발표한 ‘6월 경제동향’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기선행지수가 둔화되고 미국과 중국의 선행지수도 비교적 빠르게 하락하면서 수출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출 부진이 심해져 제조업 생산도 감소세를 이어 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5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9% 감소했다. 일본(-13.2%), 미국(-7.1%), 중국(-3.3%) 등 주요국에 대한 수출이 모두 부진했다. 품목별로는 선박(-33.3%)과 석유류(-32.2%), 철강(-19.2%) 등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KDI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70% 초반대여서 성장세가 경제 전반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민간 소비는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 4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 0.5% 증가했고, 소매판매액 증가율은 1년 전보다 4.9% 늘었다. KDI는 “건설 투자가 여전히 부진하지만 4월 국내 기계수주가 1년 전보다 21.9% 늘어나는 등 투자 선행지표가 양호하다”면서 “앞으로 내수 부진이 점차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메르스 악재가 터지면서 민간 소비도 빠르게 움츠러들고 있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06-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