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러스트 고재하
징그럽다. 비가 와도 너무 무섭게 왔다. 젊은 시절, 나는 눈보다는 비를 좋아한다고 폼 잡고 다녔다. ‘우요일’(雨曜日)이란 말도 좋아하고. 또 있다. 유년 시절 시골집에는 유난히 토란이 많았다. 커다란 토란 잎 위에는 엄지손톱만 한 청개구리가 숨겨져 있었다. 연둣빛 작은 청개구리에 신기해하자 어머니는 고운 손으로 개구리를 잡아 내 손에 건네주곤 했다. 창밖에 빗소리가 세차게 들리면 나는 서너 살 아이로 돌아가게 된다. 그때 어머니는 참으로 고왔다.
그러나 올해 늦깎이 장마는 해도 해도 너무했다. 집은 비상사태가 된다. 거실에는 하늘을 향한 정사각형 창이 있다. 멋지다. 여름밤 거실에 누워 하늘을 바라보면 황홀하기까지 하다. 희미해서 겨우 알아볼 수 있는 별조차 빛난다고 우기고 싶은 풍경이다. 나 혼자 ‘별을 헤는 밤’에 희희낙락이다. 그러나 폼 내는 낭만은 딱 여기까지다.
장마철에는 완전히 다른 얘기가 된다. 사각형 창은 모퉁이가 직각이다. 아무리 두텁게 방수 처리를 해도 모서리 틈새를 타고 비가 샌다. 장대비에는 속수무책이다. 진짜 빗줄기처럼 집안으로 줄줄 떨어진다. 집에는 양동이가 없다. 이때 가장 요긴한 것은 대형 김치통이다. 통 안에 타월을 깔아야 한다. 물줄기가 사방으로 튀기 때문이다.
누가 이 황당한 일을 해야 할까. 당연히 나다. 아내는 인상 팍 쓰고 방에 들어가 얼짱 드라마에 꽂혀 있다. 딸아이는 아직 오지 않았다. 결국 내가 들락날락하며 물을 비웠다. 한국 남자들이란 다 이렇다. 밤을 꼬박 새웠다.
정원도 간단찮다. 적당한 간격으로 세 개의 하수구가 있다. 토사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장맛비에는 힘에 부친다. 실려 온 낙엽, 토사가 하수구 구멍을 막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마당 전체가 풀장이 된다. 컴컴한 밤, 맨발로 삽을 들고 막힌 하수구 구멍을 뚫는다. 온몸이 기진맥진해진다. 그래도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다. 밖을 내다본다. ‘설마 또 막히겠어’. 하늘이 야속하다. 마당에 물이 또다시 출렁거린다. 나가야 한다. 비가 미운지, 도와주지 않은 아내가 미운지 모르겠다. 장대비에 별을 헤는 밤은 없다. 비가 새는 밤만 있을 뿐이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

김동률 서강대 교수
2025-07-29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