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대와 경기 의왕 철도대 통합문제를 놓고 충북도와 충주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충주문화방송은 23일 오후 ‘충주대-철도대 통합 논란’과 관련,고규창 충북도 정책관리실장과 민주당 심기보 충북도의원(충주제 3선거구),충주대 장병집 총장과 시민대표 심흥섭 충주시 생활체육회 회장을 초청해 긴급 토론회를 열었다.
장 총장은 “2년 전부터 충주대가 철도대와 통합노력을 벌여 최근에 좋은 결실을 보게 됐다”면서 “하지만 최근 충북도에 통합과 관련한 도지사의 ‘긍정적인 의견서’를 보내달라고 요청했지만,도가 주민 입장을 듣고 도지사 의견서를 교육과학기술부에 낼 계획이라고 밝혀 뒤늦게 논란이 돼 시민께 죄송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심 의원은 “두 대학간 통합 양해각서는 4월에 체결됐고 지난달 양 대학의 통합 협상이 끝나 교과부에 통합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지만,대학은 시민 공청회나 여론조사 없이 급하게 통합을 추진하는 것이 아닌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고 실장은 “두 대학 통합으로 철도대가 충주로 내려와 대학 규모가 커지는 것으로 알고,도지사도 작년 지방선거 공약에 통합 지원 내용을 포함했다”면서 “충주대가 내놓은 통합안에는 충주대 학생 인원 감축이 많아 도의 기대뿐 아니라 정책과도 배치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민대표 심흥섭씨는 “2009년 5월 충주대가 통합관련 TF(기획단)팀을 구성해 당시 이시종 국회의원과 지역 정치인 모두 통합 추진 위원으로 위촉했다”면서 “일부 정치인들이 이제와 두대학 통합에 반대 하지말고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좋은 의견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충주대 교명 변경에 대해 장 총장은 “변화된 대학환경과 교통 특화대학으로서 위상과 브랜드를 높이고 미래 가치 창출,학교 및 지역발전에 더욱 도움이 되고 진취적인 일”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고 실장은 “학교명은 지역 상징성과 정체성,미래 지향성인데 교통대는 종합대에서 기능대학으로 가는 것”이라며 “전국 13번째 재정 규모의 충주대가 전문대와 통합하면서,교통대 브랜드 가치가 높다고 한다면 말이 안 된다”고 꼬집었다.
통합 후 구조조정 문제에 대해 그는 “충주대는 700명 가량이 줄고 철도대는 200명이 늘어 지역에는 사실상 실익이 없다”면서 “철도대를 충주로 이전 통합할 생각은 왜 안 했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장 총장은 “철도대와의 통합은 우리 대학의 미래 발전을 위한 것으로,통합 후 철도대 캠퍼스를 철도 전문대학원으로 활용하는 등 다각적인 활용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양측은 이날 토론회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으며 2차례의 방송 토론회와 27일 충주시민을 대상으로 한 시민 설명회를 충주대에서 열 계획이다.
충주대는 지난달 30일 수도권 대학의 정원을 늘릴 때 대학은 해당 시.도지사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 규정에 따라 통합과 관련한 도지사의 ‘긍정적인 의견서’를 보내달라고 도에 요청했지만,충북도는 주민의 의견을 듣고 도지사 의견서를 교육과학기술부에 낼 계획이라고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
충주문화방송은 23일 오후 ‘충주대-철도대 통합 논란’과 관련,고규창 충북도 정책관리실장과 민주당 심기보 충북도의원(충주제 3선거구),충주대 장병집 총장과 시민대표 심흥섭 충주시 생활체육회 회장을 초청해 긴급 토론회를 열었다.
장 총장은 “2년 전부터 충주대가 철도대와 통합노력을 벌여 최근에 좋은 결실을 보게 됐다”면서 “하지만 최근 충북도에 통합과 관련한 도지사의 ‘긍정적인 의견서’를 보내달라고 요청했지만,도가 주민 입장을 듣고 도지사 의견서를 교육과학기술부에 낼 계획이라고 밝혀 뒤늦게 논란이 돼 시민께 죄송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심 의원은 “두 대학간 통합 양해각서는 4월에 체결됐고 지난달 양 대학의 통합 협상이 끝나 교과부에 통합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지만,대학은 시민 공청회나 여론조사 없이 급하게 통합을 추진하는 것이 아닌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고 실장은 “두 대학 통합으로 철도대가 충주로 내려와 대학 규모가 커지는 것으로 알고,도지사도 작년 지방선거 공약에 통합 지원 내용을 포함했다”면서 “충주대가 내놓은 통합안에는 충주대 학생 인원 감축이 많아 도의 기대뿐 아니라 정책과도 배치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민대표 심흥섭씨는 “2009년 5월 충주대가 통합관련 TF(기획단)팀을 구성해 당시 이시종 국회의원과 지역 정치인 모두 통합 추진 위원으로 위촉했다”면서 “일부 정치인들이 이제와 두대학 통합에 반대 하지말고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좋은 의견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충주대 교명 변경에 대해 장 총장은 “변화된 대학환경과 교통 특화대학으로서 위상과 브랜드를 높이고 미래 가치 창출,학교 및 지역발전에 더욱 도움이 되고 진취적인 일”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고 실장은 “학교명은 지역 상징성과 정체성,미래 지향성인데 교통대는 종합대에서 기능대학으로 가는 것”이라며 “전국 13번째 재정 규모의 충주대가 전문대와 통합하면서,교통대 브랜드 가치가 높다고 한다면 말이 안 된다”고 꼬집었다.
통합 후 구조조정 문제에 대해 그는 “충주대는 700명 가량이 줄고 철도대는 200명이 늘어 지역에는 사실상 실익이 없다”면서 “철도대를 충주로 이전 통합할 생각은 왜 안 했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장 총장은 “철도대와의 통합은 우리 대학의 미래 발전을 위한 것으로,통합 후 철도대 캠퍼스를 철도 전문대학원으로 활용하는 등 다각적인 활용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양측은 이날 토론회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으며 2차례의 방송 토론회와 27일 충주시민을 대상으로 한 시민 설명회를 충주대에서 열 계획이다.
충주대는 지난달 30일 수도권 대학의 정원을 늘릴 때 대학은 해당 시.도지사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 규정에 따라 통합과 관련한 도지사의 ‘긍정적인 의견서’를 보내달라고 도에 요청했지만,충북도는 주민의 의견을 듣고 도지사 의견서를 교육과학기술부에 낼 계획이라고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