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친박 오픈프라이머리 회의론…野 ‘20% 물갈이’ 진통 끝 확정
여야가 20대 총선 공천 방식에 대한 논란으로 홍역을 앓고 있다. 새누리당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회의론이 퍼지자 김무성 대표가 직접 차단에 나섰고, 새정치민주연합도 현역 의원 20% 물갈이 혁신안에 대한 반발이 터지면서 계파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0일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에게 “오픈프라이머리는 우리 정치 개혁의 결정판”이라면서 “저는 정치생명을 걸고 오픈프라이머리를 관철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불거진 오픈프라이머리 회의론을 반박하며 20대 총선에서 반드시 관철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이다. 당내에서는 여당 단독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할 경우에 대비, ‘여론조사 대폭 확대 실시 또는 여성·이공계 가산점 부여’를 담은 상향식 공천제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친박계는 여전히 김 대표의 ‘버티기’에 맞서 공세를 강화하는 모양새다. 좌장 격인 서청원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야당이 오픈프라이머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에 대해 “김 대표 본인 생각이 있을 테니 나중에 (공천안을) 갖고 나와서 얘기한다고 하면 토의할 수 있다”고 김 대표를 압박했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현역 의원 하위 20%를 공천에서 원천 배제하는 ‘1차 물갈이’ 방안을 진통 끝에 확정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당무위원회의 후 “여러 질문이 있었지만 적절한 답변이 나와 (의문이) 모두 해소됐다”면서 “시간이 조금 걸렸지만 만장일치로 통과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호남·비주류 의원들로부터 이견이 곧바로 터져 나왔다. 새정치연합 박주선 의원은 “당의 운명을 외부에 맡길 정도라면 당을 해체해야 한다. 외부 인사에 의존해 기생하는 것이냐”고 반발했다.
이날 당무위에서는 사무총장직 폐지 및 5본부장제 도입, 당원소환제 도입 및 당무감사원 설치에 따른 당규 개정안도 통과됐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5-08-2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