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지름신 북적…빗속 장사진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지름신 북적…빗속 장사진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5-10-01 23:44
수정 2015-10-02 02: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행사 첫날 백화점 인산인해

“세일 첫날에 와야 물건이 많죠. 브랜드 원피스 한 벌에 10만원이 훌쩍 넘는데 3만원이면 굉장히 싼 거죠.”

이미지 확대
대한민국을 쇼핑하다 블랙프라이데이 행사 첫날인 1일 서울 중구 명동 거리가 쇼핑을 나온 외국인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대한민국을 쇼핑하다 블랙프라이데이 행사 첫날인 1일 서울 중구 명동 거리가 쇼핑을 나온 외국인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첫날인 1일 서울 중구 소공로 롯데백화점 본점 9층 여성 의류 행사장은 발 디딜 틈 없이 붐볐다. 용산에서 온 주부 정모(58)씨는 3만원짜리 케네스레이디 원피스를 고르는 데 열중했다. 2만원 균일가의 이엔씨(EnC) 니트 판매대에는 일단 집고 보는 손길로 바빴다. 이 백화점이 메인으로 내세운 ‘가을 슈즈 앤 핸드백 페어’에도 5만~10만원대 구두를 신어 보려는 사람들이 몰렸다. 주부에게 인기 많은 덴비 식기 행사장에는 3~4개씩 집어가는 주부들이 많았다.

백화점업계는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첫날 비가 오는 악조건 속에서도 어느 정도 흥행에 성공했다고 자평했다.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반 백화점 문이 열기 전 내·외국인 약 300명이 줄을 서는 진풍경을 보이기도 했다. 이 백화점 관계자는 “비가 와서 걱정했는데 평일인데도 금요일이나 주말보다 손님이 더 많이 왔다”고 전했다.

10분 거리에 있는 신세계백화점 본점도 비슷했다. 10층 문화홀에 마련된 ‘아웃도어 라이프 페어’ 행사장은 50~60대 고객으로 북적였다. 행사에 참여한 코오롱스포츠, 노스페이스, K2 등 14개 아웃도어 브랜드는 남녀 등산셔츠, 기능성 바지와 같은 재고상품을 3만 9000원, 6만 9000원 등 균일가에 풀었다. 코오롱 등산재킷을 27만원에 구입한 이만석(57)씨는 “집에 배달된 광고전단을 보고 찾아왔다”면서 “잘 고르면 정가보다 40% 이상 저렴한 상품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수 살리기 차원에서 기획한 대형 할인행사인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는 일단 ‘시선집중’에는 성공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소비심리 회복으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는 대형 제조사가 주도하기 때문에 할인 폭이 대부분 50% 이상이다. ‘80% 클리어런스’(재고 떨이)도 적지 않다. 반면 우리나라 백화점은 제조·판매업체에 매장을 내주고 판매 수수료를 챙기는 수익구조여서 이들의 협조 없이 판매가를 낮추기는 어렵다.

A백화점 관계자는 “원조 블랙프라이데이의 꽃은 TV, 냉장고 등 대형 가전인데 삼성, LG 매장이 불참했다”면서 “나머지 품목도 가을 세일은 여름, 겨울 세일과 달리 입점업체의 재고가 많지 않은 때라 고객의 체감 할인율이 낮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주도의 행사가 지난달 ‘급조’되면서 대형마트와 편의점도 연중 해 왔던 신선식품 할인이나 하나 가격으로 2개를 주는 원 플러스 원 행사로 정부 시책에 호응하는 듯한 인상만 줬다.

결국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의 성공 여부는 중국인 큰손 관광객(유커)에게 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행사 첫날인 이날은 중국 국경절(10월 1~7일) 연휴가 시작되는 날이었다. 유커들은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행사에서 빠진 해외 명품과 화장품 매장을 채웠다. 세일에 연연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유커들은 가품이 많은 자국 대신 진품 쇼핑을 위해 한국을 찾는다”면서 “내국인 고객만큼 세일에 민감하지 않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국경절 한국을 찾는 유커 수는 전년 대비 30%가량 증가한 21만명으로 전망된다. 중국인들이 많이 찾는 롯데백화점 본점도 대부분 매장에서 한국어 안내문보다 중국어 안내문이 더 많을 정도로 유커 지갑열기에 신경쓰고 있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용어 클릭]

■블랙프라이데이 미국에서 11월 마지막 주 목요일 추수감사절 다음날인 금요일에 최대 쇼핑 행사가 진행된다. 이날 대대적인 할인에 소비자들이 상품을 많이 구입하면서 업체들의 장부상 적자가 흑자로 전환된다고 해서 프라이데이 앞에 블랙이란 단어가 붙었다.
2015-10-0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