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산업생산 3개월 연속 증가… 소비 늘고 수출 감소 폭 줄어
경기가 조금씩 살아날 기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산업생산은 세 달 연속, 소비는 두 달 연속 증가했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에 따른 ‘기저 효과’라는 지적이 있지만 정부는 소비 진작책 등으로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수출은 회복세로 돌아서지 않고 있어 경기 전망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
분기별로 보면 더 뚜렷하다. 2분기 전체 산업생산과 광공업생산은 전 분기 대비 각각 0.3%, 0.9% 감소했지만 7~8월엔 각각 1.0%, 0.9%로 크게 반등했다. 설비투자는 -0.5%에서 3.5%로 뛰었다.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는 1.9% 늘었다. 의복 등 준내구재(4.4%)와 가전제품의 내구재(2.8%), 화장품을 포함한 비내구재(0.3%) 모두 판매가 늘었다. 윤인대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추석 특수와 소비활성화 대책 등으로 경기 개선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수출은 여전히 부진하다.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8.3% 줄었다. 지난 8월 감소 폭(-14.9%)보다는 줄어들었지만 9개월째 하락세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수출과 투자 지표가 좋지 않고 대외 경제 환경도 만만찮아 본격적인 경기 회복이라고 하기엔 이른 감이 있다”고 밝혔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10-02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