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가판대] 케파의 ‘선상 반란’, 첼시 ‘무정부 상태’로 도배

[런던 가판대] 케파의 ‘선상 반란’, 첼시 ‘무정부 상태’로 도배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2-25 18:27
수정 2019-02-25 18: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예상했던 대로 25일 아침(현지시간) 영국 런던 신문 가판대가 케파 아리사발라가(첼시)의 ‘선상 반란’ 기사로 도배가 됐다.

아리사발라가는 전날 맨체스터 시티와의 카라바오컵 결승 0-0으로 맞선 연장 후반 종료 직전 마우리시오 사리 감독의 교체 지시를 거부하는 황당한 일을 벌였다. 그렇잖아도 경질 위협에 시달리고 있는 사리 감독은 아리사발라가가 다쳐서 의료진의 치료를 받자 윌리 카바예로를 투입하기로 마음 먹고 준비 시켰다.

하지만 아리사발라가는 여러 차례 손가락을 내저으며 “안된다!”고 소리를 질러댔다. 조너선 모스 주심이 달려와 교체가 되는 건지 아닌지 물어봤고, 사리 감독은 화가 잔뜩 나 라커룸으로 향하는 터널 안으로 들어가다가 곧바로 벤치로 돌아왔다. 카바예로는 그라운드로 들어가야 할지, 벤치에 남아 있어야 할지, 아니면 라커룸으로 들어가야 할지 몰라 어리둥절해 했다.
아리사발라가는 승부차기에서 르로이 사네의 킥을 막아 사리 감독이 주먹을 불끈 쥐어 보이는 셀레브레이션을 유도했지만 라힘 스털링에게 120분 접전을 끝내는 한 방을 얻어맞아 3-4로 맨시티에 왕관을 내줬다. 사리 감독은 경기 뒤 선수들이 패배해 망연자실해 그라운드에 붙박혀 있는데도 라커룸으로 들어가버렸다.

첼시 공격수 출신 크리스 서튼은 “첼시에 선상반란”이 일어났다며 아리사발라가를 향해 “명예를 실추시켰다. 이런 장면을 본 적이 없다. 첼시 유니폼을 입고 뛴 마지막 경기가 돼야 한다. 그가 다시 클럽을 위해 뛰게 해선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내가 사리였다면 떠났을 것이다. 그렇게 무시받을 순 없는 일이다. 왜 케파 같은 선수들에게 질질 끌려다니느냐”고 되물었다.

잉글랜드 대표팀과 토트넘 미드필더 출신 저메인 제나스는 감독을 “존중하지 않는 게” 확실해 보였지만 사리가 패배 뒤에 그라운드를 휙 떠나버려 “품격 없는 행동”을 했다고 지적했다. 전력 상 한참 달리는 경기를 대등하게 풀어간 선수들을 다독이고 상대 선수단에 축하를 보냈어야 했는데 그러지 않았다는 얘기다. 아무리 선수 하나 때문에 화가 잔뜩 났더라도 그러면 안된다는 것이다.

사리 감독은 아리사발라가가 못해서 교체하려 한 것이 아니라 보호하기 위해 그런 것이라고 해명했고, 아리사발라가는 자신의 몸상태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것 같아 그런 것이 아니라고 얘기했을 뿐이며 감독에 항명할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아리사발라가는 명백한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어설픈 발뺌에만 급급한 것으로 보인다.

콩가루 집안임이 만천하에 드러난 상황에 첼시 수뇌부가 어떤 처방을 내놓아 팀을 수습할지 주목된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