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불운은 어느 정도 예고돼 있었다. 2일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멀리·세단뛰기 대표 김덕현이 세단뛰기 예선에서 발목을 다쳤다. 이날 밤 예정됐던 멀리뛰기 결선은 포기했다. 코칭 스태프와 전문가들은 “예상된 사고였다. 사고라기보단 인재(人災)”라고 했다. 무슨 말일까.
이미지 확대
김덕현이 2일 대구 스타디움에서 열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세단뛰기 예선 3차 시기에서 발목을 다친 뒤 모래 위에서 뒹글며 괴로워하고 있다. 대구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덕현이 2일 대구 스타디움에서 열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세단뛰기 예선 3차 시기에서 발목을 다친 뒤 모래 위에서 뒹글며 괴로워하고 있다. 대구 연합뉴스
애초 경기 일정이 너무 무리하게 짜였다. 김덕현은 지난 1일 멀리뛰기 예선을 통과했다. 전체 11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다음날 오전, 이번에는 세단뛰기 예선을 치렀다. 그리고 이날 밤에는 다시 멀리뛰기 결선이 예정돼 있었다. 짧은 시간 동안 두 가지 종목을 오가야 했다. 신체와 정신 모두에 무리가 가는 일정이다. 같은 도약 종목이라도 멀리뛰기와 세단뛰기는 사용하는 근육과 밸런스가 확연히 다르다. 결국 김덕현은 이날 다쳤다. 세단뛰기 착지 과정에서 발목을 접질렸다.
이전부터 우려가 많았다. 특히 세단뛰기는 동작 자체가 부상의 위험을 안고 있다. 홉-스텝-점프로 이어지는 연속 동작은 발목-무릎-사타구니에 과부하가 심하게 걸린다. 그래서 세심하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전날 멀리뛰기 예선을 치른 김덕현으로선 완벽하게 준비를 끝내기가 쉽지 않았다.
실제 2009년 베를린대회에선 세단뛰기 예선(8월 16일)과 결선(18일), 그리고 멀리뛰기 예선(20일)과 결선(22일)이 각각 이틀 단위로 편성됐다. 김덕현처럼 멀리뛰기와 세단뛰기를 병행하는 선수에겐 최적의 일정이었다. 그러나 정작 안방에선 일정의 도움을 전혀 못 받았다. 김덕현은 2007년 오사카대회 세단뛰기 ‘톱10’에 오른 선수다. 당시 12명이 겨루는 결선에서 9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광저우 아시안게임 멀리뛰기 우승자이기도 하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 선수단 가운데 메달에 가장 근접한 선수였다. 그러나 결과는 무리한 일정에 따른 예선 탈락이었다. 대회조직위원회와 대한육상경기연맹의 배려가 부족했다. 김덕현은 이런 일정을 이겨 내기 위해 지난 6주 동안 대구 스타디움에서 경기 일정과 똑같은 시간에 시뮬레이션 훈련을 반복했다. 그러나 역부족이었다. 몸이 못 버텨 냈다. 한국 육상의 얼마 남지 않은 희망은 이렇게 부스러졌다.
대구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1-09-0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