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는 끝나기 마련이다. 그러나 그 뒤에도 삶은 계속된다.
평창동계올림픽 D-900일을 맞아 지난 25일 평창 일대를 돌아봤다. 많은 사람들이 2018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열리는 올림픽을 위해 많은 노력을 쏟아붓고 있는 모습을 직접 볼 수 있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동계올림픽을 잘 준비해서 잘 치러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잘 치러야 한다는 의미는 무턱대고 돈을 쏟아부으라는 것은 아니다. 경기 진행과 관람에 불편함이 없게 치밀하게 계획하라는 말이다.
지난해 열린 인천아시안게임은 천문학적인 예산을 쏟아붓고도 국내외 언론의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 무엇보다 경기장 건설에 필요한 돈을 조달하기 위해 지방채를 마구잡이로 발행했다가 빚더미에 앉았다.
아시안게임과 관련한 부채가 약 1조 3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안게임 이후 큰 후유증을 겪고 있는 것이다.
강원도도 올림픽을 앞두고 대대적인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선 알파인을 비롯해 총 6개 경기장을 새로 만들고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 등 6개 경기장 등을 보수 중이다. 개회식과 폐회식을 소화할 4만여석의 올림픽플라자도 신축한다.
현장을 돌아본 결과 다행스럽게도 대회 조직위원회와 강원도는 축제가 끝난 뒤 경기장에 대한 사후 처리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도는 경기장 일대를 관광 상품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공사 중인 진부역이 완공되면 접근성이 높아져 관광지로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무궁화호로 청량리에서 강릉까지 가는 데 5시간 47분이 걸리는데 공사가 끝나면 1시간 12분 만에 주파할 수 있다. 정선 알파인 경기장을 스키장으로 새 단장하겠다는 도의 계획과 맞아떨어진다. 또 도는 시설 유지와 관리 비용을 줄이기 위해 대회가 끝나는 대로 올림픽플라자 4만석을 1만 5000여석으로 축소한다.
조양호(66) 조직위원장은 “강원도를 세계적인 관광 명소로 만들어 흑자를 낼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조직위와 도가 사후 처리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부디 성공적으로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를 개최하는 도시의 좋은 예로 남기를 기대한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평창동계올림픽 D-900일을 맞아 지난 25일 평창 일대를 돌아봤다. 많은 사람들이 2018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열리는 올림픽을 위해 많은 노력을 쏟아붓고 있는 모습을 직접 볼 수 있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동계올림픽을 잘 준비해서 잘 치러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잘 치러야 한다는 의미는 무턱대고 돈을 쏟아부으라는 것은 아니다. 경기 진행과 관람에 불편함이 없게 치밀하게 계획하라는 말이다.
지난해 열린 인천아시안게임은 천문학적인 예산을 쏟아붓고도 국내외 언론의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 무엇보다 경기장 건설에 필요한 돈을 조달하기 위해 지방채를 마구잡이로 발행했다가 빚더미에 앉았다.
아시안게임과 관련한 부채가 약 1조 3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안게임 이후 큰 후유증을 겪고 있는 것이다.
강원도도 올림픽을 앞두고 대대적인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선 알파인을 비롯해 총 6개 경기장을 새로 만들고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 등 6개 경기장 등을 보수 중이다. 개회식과 폐회식을 소화할 4만여석의 올림픽플라자도 신축한다.
현장을 돌아본 결과 다행스럽게도 대회 조직위원회와 강원도는 축제가 끝난 뒤 경기장에 대한 사후 처리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도는 경기장 일대를 관광 상품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공사 중인 진부역이 완공되면 접근성이 높아져 관광지로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무궁화호로 청량리에서 강릉까지 가는 데 5시간 47분이 걸리는데 공사가 끝나면 1시간 12분 만에 주파할 수 있다. 정선 알파인 경기장을 스키장으로 새 단장하겠다는 도의 계획과 맞아떨어진다. 또 도는 시설 유지와 관리 비용을 줄이기 위해 대회가 끝나는 대로 올림픽플라자 4만석을 1만 5000여석으로 축소한다.
조양호(66) 조직위원장은 “강원도를 세계적인 관광 명소로 만들어 흑자를 낼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조직위와 도가 사후 처리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부디 성공적으로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를 개최하는 도시의 좋은 예로 남기를 기대한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5-08-2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