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범, 종별선수권대회 1,000m 우승

모태범, 종별선수권대회 1,000m 우승

입력 2010-10-31 00:00
수정 2010-10-31 17: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주연·노선영은 동계아시안게임 여자 1,500m 대표 선발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모태범(21.한국체대)이 제45회 전국남녀 종목별 선수권대회 1,000m 정상에 올랐다.

 모태범은 31일 서울 노원구 공릉동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벌어진 대회 마지막 날 남자 1,000m에서 1분09초95 만에 결승선을 통과,지난해 이규혁(32.서울시청)이 세운 대회 최고기록과 타이를 이루며 1위에 올랐다.

 모태범과 함께 10조에서 레이스를 펼친 이규혁은 1분10초54의 기록으로 2위에 올랐고,이강석(25.의정부시청)이 1분11초17로 뒤를 이었다.

 전날 남자 1,500m에서 대회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던 모태범은 이로써 두 종목 정상에 오르며 밴쿠버 금메달리스트의 자존심을 세웠다.

 모태범은 29일 열린 남자 500m에서도 2위에 올랐다.

 이규혁 역시 전날 가장 체력 소모가 심하다는 1,500m를 뛰고도 1,000m에서 2위에 오르며 여전한 ‘대표팀 맏형’의 실력을 증명했다.

 이어 열린 남자 10,000m에서는 밴쿠버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이승훈(22.한국체대)이 13분43초74의 기록으로 우승했다.

 이승훈은 2007년 고병욱이 세운 대회 최고기록(14분12초97)을 무려 29초 넘게 단축시켰다.

 또 여자 1,500m에서는 이주연(23.동두천시청)이 2분03초35의 기록으로 3년 전 자신이 세웠던 대회 기록(2분03초85)을 0.5초 단축하며 우승했다.

 이주연과 2위 노선영(한국체대,2분03초98)은 2011년 카자흐스탄에서 열리는 2011 아스타나-알마티 동계아시안게임에 나설 대표 선수로 뽑혔다.

 이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남녀 1,000m는 경기가 치러지지 않는다.또 남녀 5,000m,남자 10,000m,여자 3,000m 등 장거리 부문 아시안게임 대표는 12월 열리는 전국남녀 종합선수권대회에서 선발된다.

 이번 대회에서는 이승훈이 29일 남자 5,000m 대회 신기록(6분39초38)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7개의 신기록이 쏟아져 선수들의 성장세를 실감케 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