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환 수사중단 청탁 의혹… 玄은 부인
‘피의자 조사’ 부산시 경제특보 사표 수리부산 해운대 엘시티(LCT) 특혜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부산시 고위 관계자를 소환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이영복(66·구속) 엘시티 시행사 회장이 정관계 로비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해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부산지검 특수부(부장 임관혁)는 18일 부산시 고위 관계자 정모씨를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씨는 피의자 신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정씨에 대해 엘시티 시행사의 570억원대 비자금 조성에 관여했거나 엘시티 인허가 비리나 특혜에 개입한 혐의를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씨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엘시티 시행사인 엘시티PFV에서 자금을 관리·운영하는 자산관리 부문 매니저와 대표 등을 지냈다.
하지만 정씨는 “엘시티 자산관리회사 사장으로 재직할 당시는 엘시티 관련 인허가가 모두 끝난 상태로 설계와 분양계획, 자료 작성 등 업무만 총괄했다”며 인허가 개입을 부인했다. 따라서 검찰이 두 번에 걸친 부산시청 압수수색에서 단서를 찾지 못했다면 정씨의 혐의를 입증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검찰은 이 회장이 실질 소유주인 특수관계회사와 페이퍼컴퍼니 등 차명 계열사 10여곳의 계좌를 추적했지만 정권 실세나 정관계 유력 인사에게 흘러들어 간 정황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검찰 수사에서 “로비한 적 없다. 기억나지 않는다. 모르겠다”며 입을 열지 않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570억원의 비자금 중 상당 부분이 정관계 로비에 쓰였을 것이라는 정황은 분명한데, 아직 구체적인 진술이나 거래 내역 등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지난 1월 수상한 자금의 단서를 잡은 부산지검 동부지청에 수사 중단을 청탁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도 ‘금시초문’이라는 입장이다. 현 전 수석도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김한수 동부지청장과 이전에 알고 지내 취임 축하 전화를 한 적은 있지만 어떠한 청탁도 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6-11-1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