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코리아 매각 때 수조원 배임 의혹 넥슨계열사, 개인회사로 ‘수상한 편입’

넥슨코리아 매각 때 수조원 배임 의혹 넥슨계열사, 개인회사로 ‘수상한 편입’

최지숙 기자
입력 2016-07-12 01:36
수정 2016-07-12 0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진경준 사건, 김정주 개인 비리로 번지나

檢 ‘제네시스 명의’ 처남 등 소환

진경준(49·사법연수원 21기) 검사장의 ‘주식 대박’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 과정에서 관련 사건의 핵심 인물인 김정주(48) NXC(넥슨그룹 지주회사) 회장의 비리 의혹도 드러나고 있다. 넥슨그룹 계열사가 김 회장 개인회사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수상한 자금 흐름이 발견되고, 넥슨코리아 매각 과정에서 수조원대의 배임을 저지른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검찰 등에 따르면 이 사건을 수사 중인 특임검사(이금로 인천지검장)팀은 넥슨그룹 계열사가 김 회장의 개인회사인 ‘와이즈키즈’ 밑으로 편입되는 과정의 지분 거래 전반을 함께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와이즈키즈는 3차원(3D) 프린팅 제품 판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회사로 NXC의 지분을 일부 소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검찰은 와이즈키즈가 지난해 NXC의 자회사였던 부동산 임대업체 ‘엔엑스프로퍼티스’를 601억여원에 사들인 것에 주목하는 모양새다. 매입 대금의 조성 경위와 가격 적정성 등에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에 대한 소환 일정은 아직 잡히지 않았다. 이날 투기자본감시센터는 김 회장에 대한 추가 고발장을 접수했다. 앞서 진 검사장 주식 대박 의혹을 고발한 센터는 이날 “김 회장은 2005년 당시 가치가 1조 560억여원에 달하던 넥슨코리아를 넥슨재팬에 40억원에 넘기며 당시 모회사 넥슨홀딩스에 1조 520여억원의 손해를 입히고 배임을 저질렀다”며 “매각 과정에서의 배임·횡령·조세 포탈 규모는 2조 8301억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윤영대 센터 대표는 “김 회장이 배임 등으로 모은 자금들이 진 검사장 등에 대한 뇌물로 쓰여 각종 사건의 방패막이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검찰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고발 건에 대해 확인한 뒤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검찰은 철저하고 신속한 수사를 당부한 김수남 검찰총장의 지시에 따라 진 검사장의 주변 인물들을 샅샅이 훑고 있다. 벤츠와 제네시스 등 차명 차량 의혹에 대해서도 조만간 관계자 소환 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6-07-1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