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의약품 평균가 가장 높아
감기약, 소화제, 해열제 등 많이 찾는 일반의약품 가격이 지역에 따라 최고 2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8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6년 다소비 의약품 가격조사 결과’를 보면 가장 가격 차이가 큰 일반의약품은 ‘영진구론산바몬드’, ‘하벤허브캡슐’, ‘어른용키미테패취’, ‘베아제정’, ‘잔탁정’, ‘원비디’로 특정 지역에서 최저가의 2배에 팔리고 있었다.
가령 대부분 지역에서 500원이면 살 수 있는 피로해소드링크 ‘원비디’를 서울 중구 약국의 9.1%는 1000원에 팔고, 서울 동대문구 약국 10곳 중 1곳은 소화제 ‘베아제정’(10정)을 4000원에 파는데 서울 서대문구의 약국을 잘 고르면 2000원에 살 수 있다. 같은 자치구에서도 약값이 다르다. ‘영진구론산바몬드액’은 서울 강남구 약국의 12.5%가 700원에, 50.0%는 500원에 판다.
이렇게 지역마다 약값이 천차만별인 이유는 정가제를 시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약 가격은 약국 개설자가 자율적으로 정하되 공급받은 가격보다는 싸게 팔 수 없다. 1999년 이전에는 약값에도 표준소매가격을 적용했지만 1999년부터 판매자가 가격을 정하도록 했다. 약국 간 경쟁을 통해 소비자가 적정한 가격으로 의약품을 살 수 있게 하자는 취지다.
윤병철 복지부 약무정책과장은 “약국 간 선의의 가격 경쟁을 유도하고자 2004년부터 약국별 다소비 의약품 가격을 조사해 공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약품 평균 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1만 109원), 가장 낮은 지역은 부산(9466원)이었다. 전국 평균은 9718원이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11-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