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어떻게 전개될까
한 달 동안 지속된 메르스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메르스 바이러스는 보건 당국의 허술한 방역망을 뚫고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퍼져 나갔다. 삼성서울병원에서 비롯된 2차 유행이 잠복기를 지나면서 보건 당국은 병원 내 집단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달 말쯤 메르스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내다보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혈액 수급 비상
서울 동대문구청 직원들이 18일 구청 강당에서 단체로 헌혈을 하고 있다. 최근 메르스 감염 우려 때문에 학교나 군부대 등에서 단체 헌혈 취소가 잇따르고 개인 헌혈도 줄면서 대한적십자에서는 혈액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보건 당국이 특히 주목하는 병원은 부산 좋은강안병원과 서울 강동경희대병원이다. 좋은강안병원은 143번째 환자(31)가 입원했던 곳이고, 강동경희대병원은 투석실 이용 환자 가운데 메르스 감염자(165번째 환자)가 파악돼 신장질환 등을 가진 111명의 고위험 접촉자가 발생한 곳이다. 다행히 좋은강안병원은 초기 대응이 잘 이뤄진 까닭에 메르스가 유행할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고 있지만, 강동경희대병원에 바이러스가 퍼진다면 환자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 119번째 환자(35)가 지난 5~9일 입원 치료를 받았던 아산충무병원도 접촉자가 많고 의료진 감염 사례(163번째 환자)가 발생하고 있어 집중 관리 대상에 올랐다.
삼성서울병원도 안전한 것은 아니다. 보건 당국이 메르스에 감염된 이 병원 이송요원(137번째 환자·55)을 놓치는 바람에 메르스 증상이 발현되고서도 지난 10일까지 병원 곳곳을 활보해 추가 감염 우려가 크다. 이 밖에도 98번째 환자(58·사망)가 지난 4~7일 입원했던 서울 양천구 메디힐병원, 115번째 환자(77·여)가 지난 5~10일 입원했던 경남 창원SK병원, 90번째 환자(62·여·사망)가 지난 6~10일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대전 을지대병원 등은 현재 의료진과 환자 등을 모두 격리한 채로 폐쇄하는 코호트 격리 중이다.
집중관리병원에서 확진자를 치료 중인 의료진이 감염되거나 접촉자 가운데 추가 환자가 나올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이미 확진자에게 노출된 사람 가운데 일부 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다”면서 “부분폐쇄, 전체폐쇄, 코호트 격리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병원 내 집단감염은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추가 확진자 발생에 따른 노출자의 파악과 추적, 격리자 관리에 따라 향후 전개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14번째 환자(35)의 사례처럼 단 한 명의 환자라도 방역망에서 벗어나 다른 의료기관을 전전할 경우 병원 내 집단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설대우 중앙대 약학과 교수는 “최근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들의 잠복기를 고려하면 다음주쯤 확진자 발생 정도를 봐야 장기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대희 서울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병원 내 집단감염을 막기 위해 지금보다 접촉자 분류 기준을 강화하고 방역망을 넓히는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06-1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