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질병관리본부만 확진 판정…시·도 보건연구원서 양성 나와도 전국서 구급차로 가검물 보내야
메르스 의심 환자를 직접 관리하는 일선 보건소와 이를 총괄 지휘, 감독하는 질병관리본부 간 손발이 맞지 않아 곳곳에서 방역 허점을 노출하고 있다. 메르스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전국 시·도 일선 보건소마다 업무 과부하가 걸렸지만 중앙정부가 정확한 지침은커녕 필요한 정보를 주지 않아 혼선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4일 일선 보건소와 당국 등에 따르면 현재 메르스 의심 환자의 확진 판정은 질병관리본부에서만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일선 보건소 근무자들은 의심 환자의 타액 등 가검물을 갖고 직접 충북 오송에 있는 질병관리본부로 배달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보건환경연구원에서도 메르스 양성 여부를 검사할 수 있지만 양성반응이 나오더라도 이 가검물을 질병관리본부에 보내야만 확진 판정을 받을 수 있다. 시약이 다르지 않다면 똑같은 일을 두 번 하는 셈이다. 서울 지역의 한 보건소 관계자는 서울신문 취재진과 만나 “의심 환자가 하루에 10여명씩 나오는 상황에서 구급차 한 대로 4시간 넘게 걸리는 오송을 매일 몇 번씩 왔다 갔다 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각 지자체에 있는 보건환경연구원이 확진 판정을 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체계도 단축할 수 있다고 질병관리본부에 여러 차례 건의했지만 묵살됐다”고 털어놨다.
메르스 환자 정보를 질병관리본부가 독점하면서 지휘 체계의 혼선도 빚어지고 있다. 서울의 또 다른 보건소 관계자는 “질병관리본부가 메르스 의심 환자를 격리 대상자로 지정했어도 이를 보건소에 신속하게 알리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면서 “이는 자택 격리를 늦추게 해 3차 감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대전 지역 보건소 관계자도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중앙정부에서 충분한 지원과 지휘 체계 없이 보건소를 접수 기관으로 지정해 보건소 자체적으로도 혼란에 빠져 있다”면서 “의심 환자를 수용할 격리 시설이 없어 직원 휴식 공간을 사용하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메르스 의심 환자들의 신속한 확진과 관리를 위한 기관별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우희종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메르스는 이미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된 질병임에도 메르스 감염자 확진 판정을 질병관리본부만 하도록 둔 것은 잘못”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각 시·도의 보건환경연구원에 확진 판정 업무를 맡기지 않는 건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중앙정부의 잘못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방지환 보라매병원 감염내과 전문의는 “보건소가 감염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므로 질병관리본부와 소통이 안 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라면서 “전염병 방역은 어느 날 갑자기 보강한다고 해결되는 게 아닌 만큼 보건소 등에도 장기적으로 투자를 늘려 대비하지 않으면 이런 상황은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5-06-0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