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53> 향긋한 두릅, 마음을 다독인다

[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53> 향긋한 두릅, 마음을 다독인다

입력 2015-04-19 23:40
수정 2015-04-20 0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좋은 향은 심신을 편안하게 하며 소화를 돕는다. 허브차를 이용한 아로마 요법 등 향기요법이 많이 개발되고 있지만 봄에는 나물 향만 한 게 없다.

봄나물 중에서도 시골 마을 어귀의 햇볕이 잘 들지 않는 곳에서 무리 지어 자라는 두릅은 좋은 향을 내며 식욕을 돋운다.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 미네랄을 많이 함유한 데다 단백질, 지방, 당질, 섬유질, 인, 칼슘, 철분, 비타민(B1, B2, C)과 사포닌이 들어 있어 혈당을 떨어뜨리고 혈중 지질을 낮춘다. 당뇨병, 신장병, 위장병엔 두릅이 특효다.

특히 신경을 안정시키는 칼슘이 많이 들어 있어 불안과 초조함도 없애 준다. 또 활력을 주며 머리가 맑아지고 잠도 잘 오게 한다. 두릅은 주로 깨끗이 씻어 양념하거나 소금에 살짝 절여 먹는다.

어수리 나물의 향도 스트레스를 없애 준다. 미나릿과에 속하는 다년초 식물로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섬유질이 풍부하다. 특히 뿌리는 근육통이나 관절통에 효능이 있으며 예부터 요통, 신경통, 두통, 감기 등에 민간요법으로 활용됐다. 어수리는 당뇨와 노화 방지에도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방에서는 백지의 대용품으로도 쓴다. 향은 당귀향과 비슷하면서도 씹다 보면 입안에 취나물과 유사한 향이 가득 퍼진다. 어수리야말로 향이 가득 담긴 산채라 할 수 있다. 향긋한 향과 상큼한 맛을 지닌 봄나물로 풍성한 식탁을 차려 건강까지 챙겨 보자.

2015-04-2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