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곤궁한 성장기를 보냈습니다. 저만 그랬던 게 아니라 그 시절 자체가 곤궁이었습니다. 배가 고파 주변의 먹을 만한 거라면 뭐든 먼저 입으로 가져가는 그런 때였지요. 달착지근한 찔레 새순을 꺾어 먹거나 봄동 새순인 장다리를 먹었고, 밭두렁 잔디뿌리도 캐서 씹었습니다. 그때 장난 삼아 먹었던 또 다른 구황의 대책이 바로 깜부기였습니다.
노릇하게 여물어 가는 보리밭길을 지나다 보면 까맣게 곰팡이에 먹힌 깜부기 보리가 더러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그걸 어떻게 먹었을까 싶지만 그땐 생각없이 그 보릿목을 따 입에 넣고 씹어댔지요. 그게 말이 곰팡이에 먹힌 보릿목이지 씹으면 질감이 여간 부드럽지 않았습니다.
껄끄러운 생보리는 그렇게 씹을 엄두를 못 냈지만 깜부기는 그런 껄끄러운 느낌이 없어 마치 송홧가루로 만든 선과를 먹는 맛이었습니다. 이내 입안이 새까매지면 동무들끼리 그런 주둥이를 한껏 벌리고는 키득키득 웃어댔습니다.
지금 제 아이가 그런다면 화들짝 놀랄 일이지만, 암튼 저는 그렇게 자랐고, 살아남았습니다. 세상에, 곰팡이에 오염돼 까맣게 타들어가는 보릿목을 꺾어 입안에 넣고 씹어대다 뱉곤 했으니 요즘 건강관념으로는 도저히 이해를 못할 일임이 분명합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그게 더 건강한 생활방식인지도 모를 일입니다.
요즘에는 아이들, 자라면서 세균에 노출될 기회가 확실히 줄었습니다. 좋은 일이지만 그게 인체가 경험함으로써 획득하는 면역력 관점에서는 취약한 조건이라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습니다. 세균이 항생제에 적응력을 갖듯 우리 몸도 한번 경험한 세균에 대해서는 역시 적응력을 갖추니까요. 그렇다고 보면 자라는 애들 두고 너무 깔끔 떠는 것이 되레 문제를 키울 수도 있습니다.
요즘 유럽에서는 애들을 맨땅에서 뒹굴면서 자라게 한답니다. 애들을 막 키우는 게 아니라 다 생각이 있어서 그렇게 하는 겁니다.
jeshim@seoul.co.kr
노릇하게 여물어 가는 보리밭길을 지나다 보면 까맣게 곰팡이에 먹힌 깜부기 보리가 더러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그걸 어떻게 먹었을까 싶지만 그땐 생각없이 그 보릿목을 따 입에 넣고 씹어댔지요. 그게 말이 곰팡이에 먹힌 보릿목이지 씹으면 질감이 여간 부드럽지 않았습니다.
껄끄러운 생보리는 그렇게 씹을 엄두를 못 냈지만 깜부기는 그런 껄끄러운 느낌이 없어 마치 송홧가루로 만든 선과를 먹는 맛이었습니다. 이내 입안이 새까매지면 동무들끼리 그런 주둥이를 한껏 벌리고는 키득키득 웃어댔습니다.
지금 제 아이가 그런다면 화들짝 놀랄 일이지만, 암튼 저는 그렇게 자랐고, 살아남았습니다. 세상에, 곰팡이에 오염돼 까맣게 타들어가는 보릿목을 꺾어 입안에 넣고 씹어대다 뱉곤 했으니 요즘 건강관념으로는 도저히 이해를 못할 일임이 분명합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그게 더 건강한 생활방식인지도 모를 일입니다.
요즘에는 아이들, 자라면서 세균에 노출될 기회가 확실히 줄었습니다. 좋은 일이지만 그게 인체가 경험함으로써 획득하는 면역력 관점에서는 취약한 조건이라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습니다. 세균이 항생제에 적응력을 갖듯 우리 몸도 한번 경험한 세균에 대해서는 역시 적응력을 갖추니까요. 그렇다고 보면 자라는 애들 두고 너무 깔끔 떠는 것이 되레 문제를 키울 수도 있습니다.
요즘 유럽에서는 애들을 맨땅에서 뒹굴면서 자라게 한답니다. 애들을 막 키우는 게 아니라 다 생각이 있어서 그렇게 하는 겁니다.
jeshim@seoul.co.kr
2011-06-2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