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광의 100만㎾급 전력을 생산하는 한빛 원자력발전소 3호기가 재가동한 지 5일 만에 원자로냉각재펌프(RCP) 고장으로 다시 멈춰 섰다. 증기 발생기 결함으로 7개월 동안 가동을 중지한 데 이어 재가동한 지 1주일도 안 돼 또다시 고장으로 발전이 정지되자 안전성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16일 오후 1시 29분쯤 한빛 3호기 원자로냉각재펌프가 불시에 정지했다고 밝혔다. 냉각재펌프는 원자로의 냉각재인 물을 강제 순환시켜 원자로 내 핵연료에서 발생하는 열을 증기발생기로 전달하는 설비다. 원전 1차 계통 구성을 위한 핵심 기기다. 냉각재펌프가 정지하면서 원자로 가동도 자동 중지됐다.
한수원 측은 “증기 발생기의 이물질과는 전혀 관련이 없으며 망 분리가 돼 있는 만큼 외부 해킹에 의한 공격과도 일절 무관하다”고 말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한국수력원자력은 16일 오후 1시 29분쯤 한빛 3호기 원자로냉각재펌프가 불시에 정지했다고 밝혔다. 냉각재펌프는 원자로의 냉각재인 물을 강제 순환시켜 원자로 내 핵연료에서 발생하는 열을 증기발생기로 전달하는 설비다. 원전 1차 계통 구성을 위한 핵심 기기다. 냉각재펌프가 정지하면서 원자로 가동도 자동 중지됐다.
한수원 측은 “증기 발생기의 이물질과는 전혀 관련이 없으며 망 분리가 돼 있는 만큼 외부 해킹에 의한 공격과도 일절 무관하다”고 말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4-1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