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4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 수십명 이상 배치된 경찰 병력이 차량과 인원 등의 이동을 통제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은 삼엄한 경계와 긴장감이 맴돌았다. 4일 오전 1시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된 이후에도 대통령실 앞 경찰 병력은 철수하지 않고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는 모습이었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대통령실 앞은 큰 동요가 없었지만, 자정을 넘기자 바리케이드가 설치되고 경찰 병력이 수십명이 추가로 배치됐다. 통행은 물론 교통도 전면 통제됐다.
대통령실 입구뿐만 아니라 건너편 도로에서도 대중교통과 승용차 등 차량도 지나가지 못했다. 주변 거리를 오가는 시민들은 물론 취재를 위해 현장에 도착한 기자들도 모두 신분증 검사를 받아야 했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 비상근무로 직원들이 다시 출근하면서 대통령실로 올라가는 도로는 진입을 기다리는 차들이 길게 줄지어 서 있기도 했다. 대통령실 인근을 지나는 일부 차량들은 경적을 크게 울리며 ‘때아닌 비상계엄’에 항의하기도 했다.
삼각지역 인근에서 늦은 저녁을 먹다가 비상계엄 선포 소식을 듣고 왔다는 김모(35)씨는 “이게 무슨 일인가 싶고 어안이 벙벙하다. 너무 어이가 없고 황당해서 이곳에 한 번 와봤다”고 했다. 대통령실 인근에 사는 최모(58)씨는 연신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도대체 이게 뭐하는 짓인가”라는 말을 반복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