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이어 전남 “이태원 ‘사고 사망자→참사 희생자’ 변경 검토”

광주 이어 전남 “이태원 ‘사고 사망자→참사 희생자’ 변경 검토”

이보희 기자
입력 2022-11-02 14:49
수정 2022-11-02 14: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명칭 논란에 대통령실 “尹, 이미 ‘참사’로 규정”

이미지 확대
광주시가 2일 합동분향소 명칭을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바꿔달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가 2일 합동분향소 명칭을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바꿔달고 있다. 광주시 제공
이태원 참사로 숨진 고인 추모를 위한 합동분향소 명칭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전남도가 분향소 명칭 변경을 검토 중이다.

2일 전남도는 도청에 설치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 명칭을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변경하는 안을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지난 31일 ‘이태원 사고 관련 지역 단위 합동분향소 설치 협조’ 공문을 지자체에 보내 시·도별로 1곳씩 분향소를 설치하도록 했다. 분향소 표시는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 제단 중앙에는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고 쓰고 주변을 국화꽃으로 장식하도록 했다.

전남도는 이에 따라 31일 청사 만남의 광장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했다. 분향소 표시는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로 하고 제단 중앙에는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고 쓴 푯말을 걸었다. 도청 홈페이지와 청사 외벽에는 ‘이태원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는 팝업창과 현수막을 걸었다.

하지만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는 명칭을 놓고 정부가 책임회피와 사고를 축소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명칭 변경 논의가 나오게 된 것.

전남도 관계자는 “사고냐 참사냐, 사망자냐 희생자냐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것을 안다”며 “확정된 것은 없지만 여론을 비롯해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2일 오전 광주시청과 광주시의회 사이 1층 외부에 설치한 합동분향소에서 시민들이 추모를 하고 있다. 사진은 현수막이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갈아 설치된 모습. 2022.11.2  연합뉴스
2일 오전 광주시청과 광주시의회 사이 1층 외부에 설치한 합동분향소에서 시민들이 추모를 하고 있다. 사진은 현수막이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갈아 설치된 모습. 2022.11.2
연합뉴스
앞서 전남도 인근 광역단체인 광주시는 이날 오전 명칭을 ‘이태원 참사 희생자’로 변경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날 SNS에 “참사 초기 추모 분위기에 역행하는 논란이 일까 싶어 행안부의 지침을 따랐다. 그러나 이태원의 참상이 경찰 초기 대응 실패가 그 원인이라는 점이 분명해진 만큼 희생자들을 ‘제대로 추모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태원 압사 참사로 인한 사망자를 희생자로 불러야 한다는 야당의 요구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전날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사고 다음날 아침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면서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나서는 안 될 비극과 참사가 발생했다’고 말했다”며 윤 대통령이 이미 ‘참사’로 규정한 점을 상기시켰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가재울 맨발길 황톳길 정비 완료”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수색로변 DMC래미안e편한세상아파트 옆에 위치한 ‘가재울 맨발길’ 약 450mm 구간의 황톳길 정비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맞은편 철길 주변에는 반려견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주민들의 관심이 높았던 지역이다. 그동안 가재울 맨발길은 나무뿌리, 돌부리, 모래 등으로 인해 맨발로 걷기에 불편하다는 주민들의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최근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맨발 걷기가 큰 인기를 얻으며 서대문구 안산 등 여러 곳에 맨발길이 조성됐지만, 가재울 지역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었다. 이에 김 의원은 남가좌동과 북가좌동 주민들로부터 다수의 민원을 받아 맨발길 정비를 강력히 종용하였고, 이번 정비를 통해 맨발길은 황토 30%와 마사토 70%를 혼합해 걷기 좋게 개선됐으며, 주변 녹지 환경 정비와 간이 운동 시설, 벤치 등이 새롭게 설치되어 앞으로 가재울 주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전망이다. 김 의원은 “시의원을 비롯한 지방의원의 역할은 정책 개발과 더불어 지역 주민과 소통하며 서울시 예산을 확보해 지역 발전과 지역 주민의 편익을 도모하는 것이 주된 업무”라고 강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가재울 맨발길 황톳길 정비 완료”

이어 “현 정부가 뭘 축소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믿는 국민은 없을 것”이라며 “공식적인 행정 문서에서 표현하는 것을 현 정부가 가진 애도의 마음과 혼동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