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청소년들이 더 쉽게 술과 담배를 구입할 수 있게 됐다는 조사가 나왔다. 남학생들의 음주도 전년 대비 늘고, 여학생들은 흡연이 늘었다.
28일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8~11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약 6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편의점이나 가게 등에서 청소년이 술을 살 수 있었던 구매 용이성은 지난해 71.3%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63.5%)이나 코로나19 전인 2019년(66.2%) 보다 각각 7.8% 포인트와 5.1% 포인트 높다.
담배는 구매를 시도한 이들 중 살 수 있던 비율이 지난해 74.8%였다. 이는 2020년(67.0%) 보다 7.8% 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특히 중학생은 담배와 술 구매 용이성이 각각 15.7% 포인트, 12.4% 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남학생 흡연율은 2020년과 같은 6.0%였지만, 여학생의 경우 전년 대비 0.2% 포인트 오른 2.9%로 집계됐다. 음주율의 경우 여학생은 0.2% 포인트 낮아진 8.9%로 나타났지만, 남학생은 0.3% 포인트 올라 12.4%가 됐다.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지표는 악화되는 모습이다. 우울감 경험률은 여학생의 경우 31.4%로 전년 대비 0.7% 포인트 높아졌다. 남학생은 22.4%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전년 대비 상승폭이 2.3% 포인트로 컸다. 여학생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40.7%에서 45.6%로 올랐고, 남학생은 28.1%에서 32.3%로 높아졌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청소년의 흡연, 음주율은 전년도와 유사했으나 정서적 안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코로나 상황 이후 1, 2차년도 결과가 다른 양상을 보인 데 대해 심층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8일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8~11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약 6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편의점이나 가게 등에서 청소년이 술을 살 수 있었던 구매 용이성은 지난해 71.3%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63.5%)이나 코로나19 전인 2019년(66.2%) 보다 각각 7.8% 포인트와 5.1% 포인트 높다.
담배는 구매를 시도한 이들 중 살 수 있던 비율이 지난해 74.8%였다. 이는 2020년(67.0%) 보다 7.8% 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특히 중학생은 담배와 술 구매 용이성이 각각 15.7% 포인트, 12.4% 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남학생 흡연율은 2020년과 같은 6.0%였지만, 여학생의 경우 전년 대비 0.2% 포인트 오른 2.9%로 집계됐다. 음주율의 경우 여학생은 0.2% 포인트 낮아진 8.9%로 나타났지만, 남학생은 0.3% 포인트 올라 12.4%가 됐다.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지표는 악화되는 모습이다. 우울감 경험률은 여학생의 경우 31.4%로 전년 대비 0.7% 포인트 높아졌다. 남학생은 22.4%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전년 대비 상승폭이 2.3% 포인트로 컸다. 여학생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40.7%에서 45.6%로 올랐고, 남학생은 28.1%에서 32.3%로 높아졌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청소년의 흡연, 음주율은 전년도와 유사했으나 정서적 안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코로나 상황 이후 1, 2차년도 결과가 다른 양상을 보인 데 대해 심층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