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제10호 태풍 ‘하이선’의 영향으로 내린 많은 비로 울산 태화강이 범람해 주변 도로가 물에 잠겨 있다. 2020.9.7./독자 제공
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하이선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이날 오전 10시30분 기준 부상 1명으로 집계됐다. 부산에서 강풍으로 차량이 뒤집히면서 주민 1명이 경상을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시설피해는 공공시설 20건, 사유시설 28건 등 모두 48건이 보고됐다. 다만 아직 집계가 진행 중이어서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하이선’ 월성 2·3호기 정지…환경단체 “원전 안전성 불안”한국수력원자력은 이날 오전 8시30분 월성 2호기 터빈발전기, 9시8분 월성3호기 터빈발전기가 잇달아 정지됐다고 밝혔다. 원자로 60% 출력 상태며 방사선 영향은 없다고 전했다.
한수원은 태풍 ‘하이선’ 영향으로 전력 설비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추정하며 정확한 원인은 조사 중이다. 앞서 지난 3일에는 제9호 태풍 마이삭 영향으로 고리원전 4기가 자동정지됐다.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성명을 내고 “안전성을 담보 못 하는 고리 2, 3, 4호기와 월성 2, 3, 4호기를 조기에 폐쇄하고 안전기준을 강화하라”고 요구했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으로 원전이 잇달아 정지하면서 환경단체가 원자력발전소 안전대책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운동연합은 7일 성명을 내 “태풍에 따른 핵발전소의 잇따른 정지사고는 핵발전소가 예측 가능한 안정적 에너지공급원이 될 수 없음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두 번의 태풍으로 고리와 월성에서만 가동 중이던 6기가 동시에 멈췄고 정비 중인 발전소까지 포함하면 8기가 한꺼번에 멈추게 된 것”이라며 “기후위기로 예측할 수 없는 기상이변이 반복되고 있는 지금 원전은 위험에 위험을 더하는 불안요소”라고 지적했다.

경북 경주에 위치한 월성 원자력 본부 전경/월성원자력본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