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월21일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광주를 다녀간 직후 집단 발포가 이뤄졌다’고 증언한 김용장 전 미군 501여단 방첩 정보요원이 국내에서 5·18 관련 증언을 이어간다.
11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최근 피지에서 입국한 김용장 전 미군 501여단 방첩 정보요원이 서울에서 언론을 상대로 관련 증언과 인터뷰를 한 뒤 13일~18일 사이 광주 북구 운정동 5·18 국립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할 예정이다.
이번 증언에는 5·18 당시 광주에서 정보를 수집·보고했던 사례, 신군부와 미국의 관계, 신군부의 집단 발포·무력 진압 경위 등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또 5·18민주화운동 기간 동안 미 정찰위성 2대가 2~3시간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광주 전역에 대한 통신감청을 진행하는 등 미국이 당시 광주 상황을 샅샅이 들여다보고 있었다는 내용도 증언할 예정이다. 만약 이 증언이 사실이라면 ‘5.18 북한군 침투설’ 등은 사실상 근거를 잃게 된다.
김 전 요원은 미 국방성이 한국에 파견한 요원으로 25년간 근무했으며, 5·18민주화운동 당시에 광주에 머물면서 40건의 보고서를 직접 작성해 미 국방성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전두환씨가 5월21일 광주비행장에서 정호용 특전사령관, 505보안부대 이재우 대령 등과 회의를 했고, 헬기를 타고 서울로 돌아간 직후 (옛 전남도청에서) 발포·사살행위가 이뤄졌다’고 증언했다. 다만 이를 직접 눈으로 보지 않고 ‘첩보’ 차원에서 수집한 ‘정보’였던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검증 절차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5·18기념재단 관계자는 “이런 증언들을 조사해 그동안 밝히지 못한 5·18민주화운동의 실체를 밝힐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11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최근 피지에서 입국한 김용장 전 미군 501여단 방첩 정보요원이 서울에서 언론을 상대로 관련 증언과 인터뷰를 한 뒤 13일~18일 사이 광주 북구 운정동 5·18 국립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할 예정이다.
이번 증언에는 5·18 당시 광주에서 정보를 수집·보고했던 사례, 신군부와 미국의 관계, 신군부의 집단 발포·무력 진압 경위 등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또 5·18민주화운동 기간 동안 미 정찰위성 2대가 2~3시간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광주 전역에 대한 통신감청을 진행하는 등 미국이 당시 광주 상황을 샅샅이 들여다보고 있었다는 내용도 증언할 예정이다. 만약 이 증언이 사실이라면 ‘5.18 북한군 침투설’ 등은 사실상 근거를 잃게 된다.
김 전 요원은 미 국방성이 한국에 파견한 요원으로 25년간 근무했으며, 5·18민주화운동 당시에 광주에 머물면서 40건의 보고서를 직접 작성해 미 국방성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전두환씨가 5월21일 광주비행장에서 정호용 특전사령관, 505보안부대 이재우 대령 등과 회의를 했고, 헬기를 타고 서울로 돌아간 직후 (옛 전남도청에서) 발포·사살행위가 이뤄졌다’고 증언했다. 다만 이를 직접 눈으로 보지 않고 ‘첩보’ 차원에서 수집한 ‘정보’였던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검증 절차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5·18기념재단 관계자는 “이런 증언들을 조사해 그동안 밝히지 못한 5·18민주화운동의 실체를 밝힐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