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가계부채 7년새 90조↑…10명 중 6명 “원금·이자 부담”

서울 가계부채 7년새 90조↑…10명 중 6명 “원금·이자 부담”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1-04 10:19
수정 2019-01-04 1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연구원 “금리인상 시 영향 커…한계가구 대책 필요”

서울지역 가계부채가 7년간 90조원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서울 시민 10명 중 6명은 가계부채에 따른 원금상환과 이자 납부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가계부채
가계부채 연합뉴스
4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가계부채 진단과 정책방향’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 통계를 분석한 결과 서울지역 가계부채는 예금취급기관 대출 기준으로 2010년 195조원에서 2017년 285조원으로 90조원 증가했다. 이 중 주택대출은 125조원에서 177조원으로 늘었다. 증가분의 절반 이상(52조원)을 주택대출이 차지한 셈이다.

가계부채는 크게 예금취급기관 및 기타 금융회사 대출, 판매 신용으로 구분되지만 한국은행이 지역별 판매신용과 기타 금융사 자료를 제공하지 않아 예금취급기관 대출만 분석했다고 서울연구원은 설명했다.

서울 가구의 2017년 평균 자산은 5억3천576만원, 부채는 9천764만원으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자산 3억8천164만원, 부채 7천22만원)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서울 가계대출이 지역 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기준 74.1%로 전국 평균 55.3%보다 18.8%포인트 높았다.

보고서는 “서울은 가계부채가 지역 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 금리가 인상되면 타 지역보다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원 분석 결과 서울 가계부채가 1% 증가하면 소득은 0.26% 감소하고, 대출금리가 1% 늘면 가계부채는 0.01%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계부채 증가와 함께 서울 시민의 부담도 커진 것으로 파악된다.

서울연구원이 작년 4∼5월 19세 이상 서울 시민 1천명(가구)을 대상으로 표본 조사한 결과 부채 보유 가구의 63.0%는 원금상환과 이자 납부가 부담된다고 답했다. 부담이 없다는 응답은 11.3%, 보통은 26.0%였다.

월 소득이 적을수록 부담된다는 응답이 많았다.

부채 비중을 살펴보면 담보대출이 41.0%로 가장 많고, 신용대출이 23.6%로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서울시는 상대적으로 부채보다 자산 규모가 커 부채 대응력은 (타 지역보다) 괜찮지만, 한계가구로 인한 문제는 지속해서 제기될 것”이라며 서울시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어 “서울시가 2012년 가계부채 위기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한 이후 6년 동안 종합대책이 없었다”며 “서울시는 부동산 등 거시적인 부문보다 한계가구와 영세자영업자 등의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 가계부채 전담부서 설립 ▲ 자치구당 1곳 이상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설치 ▲ 찾아가는 가계부채상담센터(가칭) 운영 등을 제안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은 지난 14일 효문고등학교에서 마을버스 운행과 관련한 학부모 간담회를 주선해 지역 교통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효문고 교장, 효문중 교장, 교감, 도봉구청 관계자, 지역운수업체 및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 학부모 등 약 20명이 참석해 학생들의 수요가 많은 마을버스의 증차, 노선변경 및 신설 등에 대해 건의했다. 학부모들은 “인근지역 주택공급 및 개발로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는 물론 덕성여대까지 교통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마을버스 배차간격이 길고, 무엇보다 쌍문역 같은 지역수요가 많은 교통요지와의 접근성에 문제가 많다”라며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도 숙원사업”이라고 적극 건의했다. 학교 측에서도 “학교 위치가 너무 외져서 기간제교사를 채용할 시 지원율이 상당히 낮고, 특히 초임교사들에게도 교통상의 문제로 출퇴근에 어려움이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홍 의원은 “학생복지뿐만 아니라 교통복지 차원에서 학교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육환경 개선은 단순히 시설 확충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학할 수 있는 교통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