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술한 감독 시스템으로 해당 간부 정규직으로도 전환
국립대병원 간부가 3년간 국고 보조금 수억원을 횡령한 것으로 드러났다. 보조금의 허술한 관리 감시 시스템 때문에 보조금을 개인 용도로 쓰던 이 직원을 병원이 정규직으로 전환해주는 어이없는 일도 발생했다.화순 전남대병원 전 국제메디컬센터장 A(58)씨가 2011∼2013년 해외 환자 유치를 위해 사용해야 할 보조금을 횡령한 규모는 총 2억 3000만원.
이 병원에는 해외 환자 유치를 위한 시설 지원 등의 명목으로 매년 평균 10억원 가량이 보건복지부와 화순군으로부터 지원됐다.
A씨가 팀장으로 근무한 메디컬센터의 직원은 총 4명. A씨와 사무직원 2명, 간호사 1명이다. A씨는 센터가 개소한 2011년 광주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다가 이 병원 계약직으로 채용됐다. 팀장으로 있으면서 보조금 지원 사업인 해외 환자 유치 사업을 총괄했다. 다른 직원도 있었지만 보조금 집행부터 관리는 모두 A씨가 도맡아 했다. 사실상 모든 업무를 독점하다보니 보조금 집행 내역을 같은 사무실 직원들도 알지 못했다.
A씨는 보조금을 사적으로 사용하고 서류는 환자 유치 목적으로 꾸며 범죄를 숨겼다. 물품 구매 계약서, 영수증도 허위로 작성해 거래업체에 보조금을 집행했다. 서류상으로는 사업 목적으로 업체에 집행했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업체를 거쳐 다시 자신의 호주머니로 돌아왔다. 호텔 투숙비(하룻밤 150만원), 이불 구입비(40만원) 등 개인 용도로 사용한 돈도 모두 환자 유치용으로 바꿨다.
A씨가 혈세를 자기 돈처럼 쓰는 동안 보조금을 지원한 복지부와 지자체, 감사를 벌인 병원 모두 까맣게 이 사실을 몰랐다. 2014년 A씨의 횡령 의혹이 불거져 병원 측이 감사를 실시했을 때에도 이를 찾아내지 못했다. 복지부와 지자체도 정기 점검했다고 했지만 허위로 꾸며진 서류에 속아 넘어갔다.
허술한 보조금 관리·감시 시스템은 어처구니 없는 일까지 불러왔다. A씨가 한참 보조금을 빼내쓰던 2013년 아무것도 모르던 병원은 A씨를 정규직으로 전환까지 해줬다. 결국 경찰이 올해 초 병원을 압수수색 하는 등 수사를 벌여 이같은 사실을 뒤늦게 밝혀냈다. A씨는 결국 지난해 해임됐으며 경찰 수사로 범행이 드러나 구속됐다.
광주지방경찰청 송기주 광역수사대장은 11일 “집행 권한이 있는 일부 사람들의 도덕적 해이로 국민 세금으로 마련된 보조금이 줄줄 새고 있다”면서 “보조금 집행과 정산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