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본 ‘임을 위한 행진곡’
“아픔 노래… 기념곡이든 합창이든 어떠냐” “입법화 땐 형평성 논란… 공감대 형성을”서울신문이 16일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국가 원로 및 정치·사회 분야 전문가들에 의견을 구한 결과 이 문제가 과도한 이념 대립으로 흐르며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보수·진보 진영은 물론 정부 역시 매년 같은 정치적 논쟁을 반복하기보다는 ‘추도’라는 기념식의 본래 의미를 되새기는 방향에서 양보와 타협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세였다.
김대중 정부에서 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낸 김성재 전 장관은 “이 노래를 너무 이념적 성향을 지닌 것으로 보기 때문에 논란이 발생한 것”이라며 “5·18민주화운동의 아픔을 노래한 것이니 그 아픔을 생각하고 치유하려는 것으로 보면 되는데 갈등적 접근을 하니 해결이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의도만 살릴 수 있다면) 기념곡이면 어떻고 합창이면 어떠냐”고 했다. 기념곡 논쟁이 5·18의 아픔과 교훈이라는 본질을 가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영작 한양대 석좌교수는 “이는 순수하게 정치적 이슈로 민생은 물론 호남과도 관련이 없는 것이 자꾸 문제화된다”며 “이 노래의 기념곡 지정 문제는 국민적 공감대가 얼마나 있는지를 따져야 한다”고 했다. 양승함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국론 분열이라 말할 것도 없는 걸 극단적 논리에 묻혀서 나라가 한쪽으로 쏠리면 그것처럼 바람직하지 않은 게 없다”며 “다들 조금은 자신들의 가치를 양보하고 타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 노래를 바라보는 관점은 정치적으로 갈라져 있어 한번에 뛰어넘을 수 없는 것”이라며 “결국 이 노래가 반체제적인 것이 아니면 양측 모두 합의에 도달해 합창이든 제창이든 서로 부르고 싶은 것을 부르게 하는 것이 해답”이라고 했다.
임혁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5·18기념식이 ‘제사’의 성격인 만큼 유족들의 의견을 최우선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했다. 그는 “5·18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은 일종의 관습법과 마찬가지”라며 “본래 제창을 해오던 것을 이명박 정부 초기에 합창으로 바꾸며 갈등이 확산된 것”이라고 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기념곡으로 지정하는 입법은 보수층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사안으로 어렵지만 중간 단계인 제창은 가능하도록 문을 열어둬야 한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임을 위한 행진곡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제창 문제를 입법화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장영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애국가를 비롯해 공식적 기념일에 사용되는 상당수의 노래들은 관행적인 것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 하나만을 입법화하면 형평성의 문제가 발생한다”면서 “정부가 이번에는 제창을 불허했지만 앞으로 국민들의 의사를 수렴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겠다는 입장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6-05-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