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서 참고도서 활용 땐 어쩔거냐”…교사 교과운영권 강조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정부의 역사교과서 단일화 추진에 대해 “교육감들이 나서서 할 수 있는 방법을 다해 국정화를 막아야 한다”며 “인정 교과서 개발 대안은 나중의 문제”라고 밝혔다.이 교육감은 15일 경기도의회 임시회 출석에 앞서 “현 시점에 국정화를 막는 게 중요하지 그 대안을 얘기할 단계가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일부 교육감이 ‘대안 교과서’ 개발을 검토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대응법이다.
이 교육감은 “지금은 총력을 다해 막고 (그래도 안 되면) 그때 가서 대안을 얘기해야지 대안부터 말하면 교육부가 법으로 막을 것”이라고 예견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 13일 대안 교과서 개발 움직임에 대해 법적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이 교육감은 “국정화가 되면 국정교과서를 채택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짚었다.
현행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은 “학교의 장은 국정도서 또는 검정도서를 보충할 목적으로 인정받은 인정도서를 국정도서 또는 검정도서에 갈음하여 선정.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교육감은 “국정화는 교육 자체에 대한 파괴행위이다. 직선제 폐지 추진을 보면 단순히 역사 교과서로 끝날 게 아니어서 (그 배후에는) 뺏겨보지 않은 권력(지방 교육감)을 빼앗긴 훈구파들이 있다”는 시각도 내비쳤다.
그러면서 “교사들이 집단행동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교육감들이 먼저 나서야 한다”면서 “추후 어떻게 대처할지 교사들과도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이 교육감은 ‘교사의 수업권’을 강조했다.
”교과운영은 선생님들이 교실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권한이고 참고자료나 부교재를 제작해 활용하는 것은 선생님들의 교육권”이라며 “1천명이 넘는 교사(공립 기준)가 보완적으로 다른 교재를 사용하면 막을 방법이 없다”는 설명이다.
그에 따른 혼란 우려에 대해서는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정신없는 사람들”이라고 잘라 말했다. 앞서 평화방송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도 국정교과서 집필진 구성에 대해 “이런 데 선발돼 참여하는 교수는 얼빠진 교수”라고 직설적으로 표현했다.
이 교육감은 이날 도의회 임시회 본회의 일정을 들어 강릉에서 열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에 참석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