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공공기관 사칭 개인정보 요구
경찰이 최근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에 대한 국민적 불안과 관심이 높아진 틈을 타 이를 악용한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등 사기가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이 밝힌 주요 수법은 의료기관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해 계좌번호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전화, 홈페이지 주소를 불러 주면서 접속하게 하는 전화, 출처를 알 수 없는 인터넷주소(URL)를 포함한 문자메시지 등이다.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메르스 환자일 경우 처음부터 비급여 항목과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등 치료비를 전액 국고로 지원한다.
긴급 생계비는 확진자 및 격리 대상자에 대해 보건복지콜센터(전화번호 129)에서 신청을 받을 뿐 개별 안내는 하지 않는다. 따로 개인정보나 금융거래정보를 요구할 일이 없다는 얘기다.
경찰은 “이런 전화나 문자메시지는 100% 사기”라며 “이런 전화를 받으면 반드시 복지부 메르스 콜센터나 112로 신고해 달라”고 밝혔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5-06-1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