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보일배’ 세월호 유가족 이호진씨
이호진(56)씨는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염곡동에 있었다. 지난 2월 23일 전남 진도 팽목항을 출발한 지 108일째. 그동안 500㎞가 넘는 거리를 온몸이 부서지는 고통을 겪으며 삼보일배로 걸어온 그다. 무릎 보호대는 검게 해어져 있었다.
세월호 참사로 막내아들을 잃은 이호진씨가 10일 서울 서초구 염곡동에서 세월호 모형을 실은 손수레 앞에서 삼보일배를 준비하고 있다.
그의 가슴에는 ‘반면교사’(反面敎師)라고 쓰인 노란색 천이 달려 있다. 그 네 글자가 이씨 부녀가 1300리 국토 종단길에 나선 이유이기도 하다. “하루속히 세월호 침몰의 진상을 규명하고 나아가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무더운 날씨에 최근 나룻배 모형까지 순례길에 동행하게 되면서 전진 속도가 많이 줄었다. 그의 오른쪽 무릎도 탈이 났다. “사고 당시 큰 나룻배 한 척만 있었다면 우리 아이들을 다 살릴 수 있었을 텐데, 안타까운 마음에 나룻배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세월호 희생자의 영혼을 달래고 마음으로나마 살리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30명이 동시에 들어야 하는 나룻배 모형에는 세월호에서 나온 주인 없는 젖병 그림과 아직 차가운 바다에서 나오지 못한 실종자 숫자를 뜻하는 9개의 손 그림이 붙어 있다.
험난한 길이니 모든 게 순탄할 리 없다. 얼마 전부터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도 영향을 끼쳤다. 지난 8일에는 사람이 모이지 않아 출발이 오전 9시에서 오후 1시로 미뤄지기도 했다. “순례단이 출발을 못 한다는 소식을 듣고 조퇴까지 하고 온 분들이 있어 다시 힘을 내 행진을 계속할 수 있었습니다.”
이씨 부녀의 여정은 오는 13일 광화문 도착으로 끝을 맺는다. 이씨는 “세월호는 2014년 4월 16일 그대로다. 광화문에 도착하는 순간까지 시민들에게 아직 끝난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전달하고 싶다”며 다시 무거운 발걸음을 옮겼다.
글 사진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5-06-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