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9사단 신병교육대에 입소해 9사단 예하 대대에 복무 중인 박상욱(20) 이병의 가족 이야기다.
이미지 확대
같은 부대 전우 된 ‘삼부자’ 아버지에 이어 두 아들이 같은 부대에서 군복무, 화제가 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2일 경기도 고양시 육군 9사단 신병교육대에서 박상욱(20) 이병이 신병교육을 마친 뒤 아버지 종영(57) 씨, 형 상율(28) 씨와 함께 화이팅을 외치는 모습. 박 이병의 아버지는 1980∼1982년, 형은 2006∼2008년 9사단에서 각각 복무했다. 2015.3.27 육군 9사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같은 부대 전우 된 ‘삼부자’
아버지에 이어 두 아들이 같은 부대에서 군복무, 화제가 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2일 경기도 고양시 육군 9사단 신병교육대에서 박상욱(20) 이병이 신병교육을 마친 뒤 아버지 종영(57) 씨, 형 상율(28) 씨와 함께 화이팅을 외치는 모습. 박 이병의 아버지는 1980∼1982년, 형은 2006∼2008년 9사단에서 각각 복무했다. 2015.3.27 육군 9사단 제공
박 이병의 아버지 종영(57) 씨는 1980년 1월부터 1982년 10월까지 9사단 예하 부대에 근무했다. 박 이병의 형 종율(28)씨 역시 2006∼2008년 2년간 9사단에서 복무했다.
박 이병 형제가 9사단에서 복무하게 된 데는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
아버지 종영 씨는 복무 중 특별한 사건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군 생활을 하면서 좋았던 점과 사회에서 군에서 만난 사람들과 좋은 인연이 된 점을 강조하며 두 아들이 9사단에서 군 생활을 하길 바랐다.
형 종율 씨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직계가족 복무지원병’에 지원, 9사단에 복무하게 됐다.
직계가족 복무지원병 제도는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근무한 군부대에서 복무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경쟁이 치열해 병무청 전산추첨을 통해 선발한다.
박 이병도 형과 같이 직계가족 복무지원병에 자원했으나 3번이나 고배를 마셔야 했다.
그러나 박 이병은 포기하지 않고 원하는 최전방 부대에서 소총수로 경계근무를 해야 하는 ‘분소대 전투병’에 지원, 8대 1의 경쟁률을 뚫고 9사단 신병교육대에 입대하게 됐다.
박 이병은 “’아버지가 복무했던 부대에서 군 생활을 하자’고 한 형과의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아버지, 형과 전우가 된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군 생활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