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해경본부 3개 구역 구분 수색 범위 확대

연합뉴스
실종자 수색하는 해경
14일 오후 전날 해경 헬기 추락사고가 발생한 전남 신안군 가거도 인근 해상에서 해경 등 수색대원들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13일 오후 응급환자 이송을 위해 목포서 가거도로 이동 중이던 서해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 헬기가 가거도 인근 해상에서 착륙 직전에 추락해 탑승자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실종된 상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해해경본부
추락헬기 수색 범위
전남 신안군 가거도 앞 해상에 추락한 서해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 헬기(B-511) 실종자와 동체 수색 작업 나흘째인 16일 잠수사와 해양조사선을 투입해 방파제 인근을 집중적으로 조사한다. 사진은 3개 구역으로 구분해 사고 추정 지점을 기준으로 확대(반경 55.6×46.3㎞)한 수색도.
서해해경본부
서해해경본부
수색도 3개 구역으로 나눠 사고 추정 지점을 기준으로 확대(반경 55.6×46.3㎞)했다.
서해해경본부는 최초로 헬기 기체가 발견된 지점인 방파제 부근 300m 해상에 해경 중앙특수구조단 잠수사 10여명을 동원, 집중 수중 수색을 하고 있다.
특히 이날 오전 6시 현장에 도착한 국립해양조사선 바다로1호(695t)가 방파제 인근 해상에서 멀티빔과 사이드스캔 소나를 이용해 수중 수색에 참여했다.
사고 해역에는 해경 함정 19척을 비롯해 해군과 민간어선, 관공선 등 38척과 항공기 10대를 동원해 해상 수색 작업을 펼쳐지고 있다. 항공기 10대도 기상 여건에 따라 항공 순찰을 하고 있다.
해경은 사고 직후 박근수 경장을 발견한 이후 현재까지 추가 실종자 찾지 못했다.
현장에서 헬기 꼬리 부분으로 추정되는 기체 일부를 비롯해 구명벌, 장갑 등 45종에 57점의 부유 물품을 인양했다.
사고 헬기는 13일 오후 8시 27분께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남쪽 5.5km 해상에 추락했다.
당시 헬기는 가거도 보건지소에서 맹장염 증세를 보인 남자 어린이(7)에 대한 이송요청을 받고 방파제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추락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