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주변인 상대 잇단 총격 왜
엽총으로 가족 등을 살해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모방 범죄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노진철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사회 구성원이 체감하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사회가 안정됐을 때는 관계가 틀어져도 이를 회복하는 것이 우선이었지만 지금은 불확실성이 높아져 본인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또 “관계를 유지한다고 해서 상황이 나아질 수 있다는 확신이 사라졌기 때문에 기존의 관계를 끊는 극단적인 행동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도 “불황이 길어지면서 가족 등에게 손을 벌리게 되지만 도움 요청을 받는 쪽도 힘들기는 마찬가지”라며 “각자의 가구를 꾸려 나갈 수 있을 만큼의 여유가 없다 보니 가족 범죄 등이 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사회 통합의 기초가 되는 가족, 연인, 친구 등의 공동체가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점점 무너지고 있다”며 “사회 안전망을 확충하고 공동체 안에서 생긴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회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5-02-2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