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교생 100명 6∼7명 스마트폰 ‘중독’ 위험

초중고교생 100명 6∼7명 스마트폰 ‘중독’ 위험

입력 2013-05-06 00:00
수정 2013-05-06 1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교육청 전수조사…6.5% 위험·주의사용군 속해

초·중·고교생 100명 중 예닐곱명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로 스마트폰 사용에 몰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3월 25일부터 2주간 1천305개 초등학교 4학년, 중·고등학교 1학년생 30만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을 전수조사한 결과 1만7천448명(6.51%)이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스마트폰 과다 사용 비율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았다.

초등학교 4년생은 0.91%에 불과했지만, 중학교 1학년생은 7.24%, 고등학교 1학년생은 8.86%에 달했다.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란 지나치게 스마트폰에 몰두하는 바람에 내성과 금단증상이 생겨 수면, 학업, 건강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폰에 빠진 학생은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스마트폰 생각만 나고 만족을 얻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스마트폰에 쏟게 된다. 또 스마트폰이 없으면 왠지 허전하고 안절부절못하며 짜증이 나는 등 금단현상이 나타난다.

서울교육청이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일상생활 변화를 조사한 결과 ‘위험사용군’에 속하는 학생은 4천585명(1.81%), ‘주의사용군’에 속하는 학생은 1만2천590명(4.69%)으로 집계됐다.

조사는 학생이 ‘스마트폰으로 학업성적이 떨어졌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면 견디기 힘들 것이다’ 등 15개 문항에 1(전혀 그렇지 않다)∼4점(매우 그렇다)까지 매기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총점이 45점 이상이면 위험사용군, 42점 이상 44점 이하면 주의사용군으로 분류된다.

위험사용군은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보이며 내성·금단 현상이 나타나는 단계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문기관의 지원과 도움이 필요하다.

주의사용군은 일상생활에 장애가 나타나고 스마트폰 사용에 집착하게 된다.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단계로 스스로 위험성을 깨닫고 계획적인 사용을 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인터넷을 과다 사용하는 학생은 9천85명(3.07%)으로 나타났다. 위험사용군은 2천589명(0.87%), 주의사용군은 6천496명(2.20%)이었다.

작년과 비교하면 과다사용비율은 3.32%에서 0.25%포인트 줄었다.

서울교육청은 인터넷중단 전문상담기관인 IWILL센터,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와 협력해 인터넷·스마트폰 과다사용 학생에 대한 상담과 병원연계치료를 지원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서울시의회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 제2선거구)은 지난 6월 23일 왕십리도선동을 시작으로, 6월 25일 행당1동, 7월 8일 왕십리제2동, 7월 9일 행당2동에서 열린 2025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참석해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며 자치 활동의 의미를 함께했다. 주민총회는 각 동의 주민자치회가 주도해서 한 해 동안의 활동을 보고하고, 주민 제안 사업에 대해 주민들이 직접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자리로, 생활자치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참여 플랫폼이다. 이번 주민총회에서는 자치계획 보고, 분과별 활동 공유, 마을의제 설명 등 다양한 순서가 진행되었으며, 생활안전, 복지, 환경 등 주민 실생활과 밀접한 주제들이 활발히 논의됐다. 구 의원은 각 총회에 참석해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주민들이 직접 마을의 일에 참여하고 방향을 정하는 모습이 참 인상 깊었다”면서 “이런 소중한 참여와 열정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시의회에서도 힘을 보태겠다”고 전했다. 한편, 구 의원은 매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빠짐없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꾸준히 청취하고 있으며, 주민 제안이 실질적인 정책과 예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