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이냐 민영이냐’ 구룡마을 긴장감

’공영이냐 민영이냐’ 구룡마을 긴장감

입력 2011-05-01 00:00
수정 2011-05-01 05: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간개발 왜 막나” vs “잇속 챙기려 여론몰이”

서울시의 공영개발 계획이 발표된 다음날인 지난달 29일 오전 구룡마을은 겉보기에는 평소처럼 평온했다.

마을 입구에 외부인 출입을 감시하는 초소가 세워져 있지만 다닥다닥 붙어있는 판잣집들 사이로 강아지들이 가끔 뛰어다닐뿐 마을을 한 바퀴 돌아야 겨우 주민 한 명을 만날 수 있을 정도로 조용했다.

하지만 마을에는 묘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주민들은 서로 눈치를 보며 말을 아꼈고 불안해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공터에서 고장난 가전제품을 수거하던 한 주민은 “괴상한 동네”라는 말만 반복했다.

길게는 20년 넘게 한마을에 살아온 이들이지만 개발 방식을 둘러싼 해묵은 갈등이 마을을 둘로 갈라놓은 모습이었다.

많은 주민은 서울시의 공영개발 계획 소식을 듣고 반가워하면서 “그동안 민영개발을 주장해온 주민자치회 사람들의 목소리가 워낙 커 개발 문제에 대해서는 모른 척 해왔다”고 전했다.

박모(40)씨는 “공영개발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마을에서 따돌림을 당할까봐 말도 못하고 서로 쉬쉬하고 있었다”고 했고, 김모(51.여)씨도 “자치회에서 자기들 말 잘 듣는 사람들에게만 아파트 분양권을 줄 거라는 소문도 돌았다. 앞으로 피 튀기게 싸울 일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영개발에 찬성하는 주민들은 자치회가 의견을 묻지도 않은 채 마치 마을 전체가 민영개발을 원하는 것처럼 여론몰이를 한다고 비난했다.

형편이 어려운 대부분 주민은 민간업체가 아파트를 지어도 들어갈 돈이 없는데도 제 잇속을 챙기려 ‘배부른 소리’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자치회는 정부가 수십 년 동안 마을을 방치하며 해준 것도 없으면서 이제와서 공영개발 방식을 밀어붙이려 한다며 볼멘소리를 했다.

주민자치회 유귀범 회장은 “수도와 전기도 우리가 민간업체에 손수 맡겨서 했다. 주민들이 민간업체와 뭐 좀 해보겠다고 하니까 막는 게 말이 되느냐”면서 “공영개발을 하면 보증금 6천만원에 월세 40만원 정도를 내야 하는데 그만큼 돈이 있으면 벌써 다른 곳에 집을 구해 나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개발 방식을 놓고 마을에 이처럼 묘한 분위기가 형성된 것은 부동산개발업체 대표인 정모(67)씨가 이곳 땅을 사들이기 시작한 199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씨는 마을 주민들에게 “아파트를 지으면 보증금 없이 임대로 살게 해주고 5년이 지나면 3.3㎡당 400만원 정도인 건축비만 받고 아파트를 명의이전해주겠다”고 약속했다.

계획대로라면 주민들은 1억원으로 강남 한복판 금싸라기 땅에 25평(82.5㎡)짜리 아파트 한 채를 얻는 셈이어서 자치회를 중심으로 정씨에게 협조하는 사람들이 생겼다.

정씨는 구룡마을 일대에 주민 몫 1천200여 가구를 포함, 모두 2천700여 가구를 짓는 내용의 개발계획안을 내기도 했다.

서울시가 녹지 훼손과 개발이익 사유화에 대한 특혜 논란 등을 이유로 SH공사가 개발을 주도하도록 계획을 짜 발표하면서 민영개발은 사실상 무산됐지만 주민자치회를 중심으로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마을에서는 자치회가 주민에게 ‘비상대기령’을 내리고 이달부터 본격적인 투쟁을 시작할 계획이라는 얘기가 나돈다.

게다가 민영개발 계획에 찬성하는 주민들이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 주민 사이의 갈등이 겉으로 드러날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한 주민은 “공영개발을 지지한다는 내용의 주민 서명을 받아 서울시와 강남구청에 제출할 계획”이라며 “민영개발이 마을 전체의 뜻은 아니라는 점을 알리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