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선짬뽕에 왜 해삼 없나” 시비끝에 결국…

“삼선짬뽕에 왜 해삼 없나” 시비끝에 결국…

입력 2011-02-10 00:00
수정 2011-02-10 1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상이 각박해진 탓인지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문제로 촉발되는 폭행 사건이 서울시내에서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다.

 ‘해삼 빠진 삼선짬뽕’ ‘봉투값 50원’ 등 이유를 들어보면 어이가 없어진다는 게 시민의 반응이다.

 10일 서울 중랑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9일 새벽 3시께 지인들과 술을 마신 안모(41)씨는 속을 풀러 망우동의 한 24시간 영업 중국집을 찾았다.

 메뉴에서 삼선짬뽕을 고른 안씨는 음식이 나오자 갑자기 종업원 이모(42)씨를 불러다 놓고 ”다른 데서 시켜먹던 삼선짬뽕에는 해삼이 들었던데 왜 여기는 해삼이 빠졌냐“며 욕을 퍼붓기 시작했다.

 종업원 이씨는 안씨 앞에서 쩔쩔매다가 ”돈을 안 받을 테니 화를 풀라“며 달랬지만 안씨는 막무가내였다.그러다 이들은 한 시간 후에 ‘술 한잔하자’며 따로 근처 해장국 집으로 자리를 옮겼다.

 술잔을 기울이다 한 살 차이 동년배라는 사실을 안 둘은 서로 ‘형 동생’ 해가며 기분 좋게 술을 마셨고,집에 가는 길에 택시까지 같이 탔다.

 그런데 택시를 타자마자 안씨는 잊었던 짬뽕 얘기를 다시 꺼내며 ‘해삼이 왜 없느냐’고 또 욕을 하기 시작했다.

 화가 치밀어 오른 이씨는 중간에 택시에서 내려 안씨를 밀어 넘어뜨리고는 마구 때렸고,안씨는 이씨를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은 결국 중국집 종업원 이씨를 폭행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은 ”먼저 시비를 건 안씨는 진단서를 떼올 테니 이씨를 강력히 처벌해달라고 말하고 있고,이씨는 짬뽕에다 해장국값까지 다 내 주고 잘해 줬는데 이렇게 됐다며 억울해한다“고 말했다.

 앞서 종암경찰서는 백화점 한과 매장에서 봉투값 50원을 내라는 말에 종업원의 뺨을 때린 혐의(폭행)로 주부 김모(50)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는 설 연휴를 앞둔 지난달 27일 모 백화점 한과 코너에서 계산하다가 ”비싼 한과를 샀는데 왜 봉투값을 따로 내게 하느냐“며 판매원 김모(56·여)씨의 뺨을 한차례 때린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곧바로 경찰을 부른 종업원은 ‘처벌을 원치 않는다’고 태도를 바꿨다가 같은 김씨가 두 차례나 다시 매장을 찾아 난동을 부리자 경찰에 신고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