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서울…인구 50년새 3.3배↑, 면적은 2배로

통계로 본 서울…인구 50년새 3.3배↑, 면적은 2배로

입력 2010-08-18 00:00
수정 2010-08-18 14: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50년간 서울시의 면적이 2배로 확대되고 인구는 3.3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이상 고령자는 17.3배로 뛰었고 핵가족 추세가 확산되면서 가구원 수는 절반으로 줄었다.

 서울시는 18일 서울통계연보 발간 50돌을 맞아 1960년과 2009년의 서울의 모습을 비교한 ‘통계로 보는 서울 반세기’를 발표했다.

 ●서울 50년간 급팽창

 서울의 면적은 50년 전 268.35㎢였는데 양주군,김포군 일부 등이 편입되면서 작년 말에는 605.25㎢로 125% 늘어났다.지난해 서울 면적은 전체 국토의 0.6%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 인구는 1960년 244만5천명에서 급속도로 불어나 작년 말 1천46만4천명으로 3.3배 증가했다.

 서울 인구는 1988년 1천만명을 넘어선 뒤 1992년 1천96만9천862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꾸준히 감소하다 2004년부터 다시 늘고 있다.

 외국인은 1970년 1만463명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말에는 25만5천749명에 달해 서울시가 국제화된 도시로 바뀌어가고 있음을 보여줬다.

 고령자는 50년전 5만4천354명에 그쳤지만 작년 말에는 94만2천946명으로 증가했고,평균 연령도 23.9세에서 37.6세로 높아졌다.

 가구 당 가구원 수는 5.47명에서 2.48명으로 줄었다.

 서울의 연평균 기온은 12.1도에서 12.9도로 0.8도 상승했으며,1998년 13.8도로 가장 높았고 1980년 10.8도로 가장 낮았다.

 ●자장면 가격 24배 상승

 소비자 물가지수는 1975년에 비해 8.8배 뛰었는데 자장면은 24.2배 뛰었다.

 유치원 납입금은 35년간 60.0배나 치솟았고 국립대와 사립대 납입금은 각각 31.0배,28.7배 높아졌으며 시내버스 요금은 24.4배,영화관람료는 20.2배 상승했다.

 맥주(3.9배),닭고기(6.0배),담배(6.7배),달걀(6.9배),라면(7.0배),쌀(7.1배) 등은 상승 폭이 적은 편이었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실질소득 기준 월 평균 소득은 지난해 346만원으로 1965년에 비해 15.1배 증가했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비지출 중 식료품비 비중은 1965년 64.0%로 벌어서 먹고 살기 급급했던 상황이었지만 2008년에는 25.4%로 낮아졌다.

 외식비 비중이 같은 기간 1.3%에서 48.9%로 뛰었고 교통·통신비 지출은 2.0%에서 17.4%로,교육비 지출은 4.4%에서 13.0%로 상승했다.

 아파트 건설 붐으로 총 주택 중 아파트 비중이 1970년 4.1%에서 지난해 56.8%로 높아졌다.

 인구 1천명 당 자동차 수는 1960년에 5대에 불과했지만 작년에는 282대에 달했다.

 의료시설은 50년전 2천78곳에서 지난해 말 1만5천210곳으로 7.3배 불어났으며,특히 치과병·의원이 16배나 많아졌다.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50년 전 70.8명에서 지난해 20.6명,교실 당 학생 수는 105.2명에서 지난해 28.3명으로 급감했다.

 ●달라진 서울의 하루 풍경

 지난해 하루 평균 247명이 태어나고 106명이 사망했는데,10년전인 1999년에는 347명이 태어나고 103명이 사망했다.

 지난해 189쌍이 결혼하고 66쌍이 이혼했다.10년 전에 233쌍이 혼인하고 71쌍이 헤어진 데 비해 모두 줄었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55명에서 1.37명으로 감소했고 지하철과 버스 이용객은 각각 473만6천명과 445만9천명에서 628만2천명,460만5천명으로 늘었다.

 하루 평균 범죄 발생 건수는 957건에서 1천111건으로 늘고 외국인 관광객은 1만2천767명에서 2만1천418명으로 증가했다.헌혈 인구는 2천256명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