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 수시의 15%…입시 중요축 부상

입학사정관제, 수시의 15%…입시 중요축 부상

입력 2010-08-16 00:00
수정 2010-08-16 15: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학시험성적 제외 등 공통기준 마련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16일 발표한 2011학년도 수시 모집요강 주요사항을 보면 대학입시의 새로운 모델인 입학사정관제가 학생 선발의 중요한 축이 됐음을 알 수 있다.

 수시모집 선발인원 23만5천250명 중 14.6%에 해당하는 3만4천408명을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뽑는다.

 수시모집 선발인원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전체 모집인원(38만2천192명)의 61.6%를 차지한다.

 ◇입학사정관 전형 126개대로 확대=작년 86개교에서 40개 대학이 늘었다.건국대·울산과기대·목포대·건양대 등 정부지원 대학이 58개교(2만7천415명),안동대·신라대·한남대 등 독자실시 대학이 68개교(6천993명)다.

 2009학년도 40개교와 비교하면 2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해 특별전형의 주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모집인원은 2009학년도 4천476명(수시·정시 합계),2010학년도 2만1천392명에서 3만4천408명으로 2년 전과 비교하면 7.69배 늘었다.

 ◇입학사정관 공통기준 도입=공정성과 신뢰성을 담보하고 고교교육과 연계해 제도를 안착하도록 ‘기본 룰’을 만들었다.한마디로 ‘이런 자료로 학생을 뽑아서는 안 된다’는 한국형 입학사정관제의 틀이다.

 우선 공교육을 저해하는 전형요소를 싹 덜어냈다.

 토익·토플·텝스,JLPT(일본어능력시험),HSK(중국한어수평고시) 등 공인어학시험 성적과 교과 관련 교외수상 실적,구술 영어 면접 등을 주요 전형요소로 반영하거나 이런 자료로 지원자격을 제한해서는 안 된다.

 해외 봉사실적 등 사교육 의존 가능성이 높은 체험활동도 마찬가지다.

 자기소개서와 증빙서류를 영어로 기술하게 해서도 안 된다.

 지원자격을 특목고 또는 해외고교 졸업(예정)자,수학·물리·과학 등 올림피아드 입상자,논술대회·음악콩쿠르·미술대회 등 입상자로 제한하는 것도 금지된다.

 일반 고교에 개설하기 어려운 전문교과 이수를 요구하거나 해당 대학이 개설한 교과 관련 특별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도록 지원자격을 제한하는 것도 금기 사항이다.

 고등학교 교육을 정상적으로 이수한 학생은 누구든 입학사정관 전형에 지원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대교협은 “룰을 지키지 않으면 해당 대학의 전형을 인정하지 않고 각종 지원 대상에서 제외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수시 비중 60% 넘었다=2011학년도 수시모집은 196개대에서 23만5천250명을 모집해 2010학년도(194개대,22만7천92명)보다 8천158명 늘었다.

 대교협은 입학사정관 전형의 확대에 따라 수시모집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했다.

 전체 선발에서 차지하는 수시 비중도 2010학년도 59.0%에서 2011학년도 61.6%로 2.6%포인트 높아져 처음 60%를 넘었다.

 국공립대학이 41개대 4만7천955명(20.4%)이며,사립대학은 155개대 18만7천295명(79.6%)이다.전형유형별로 보면 일반전형이 163개대 11만3천207명(48.1%),특별전형이 191개대 12만2천43명(51.9%)이다.

 특별전형에서는 특기자전형으로 8천73명(121개대),대학독자적기준전형으로 8만2천777명(184개대),취업자전형으로 532명(16개대)을 선발한다.

 대학독자적기준 특별전형 중에는 교과성적(내신) 우수자 특별전형이 38개대 1만3천720명으로 가장 많다.

 정원외 특별전형으로는 농어촌학생 9천335명,전문계고교출신자 1만60명,특수교육대상자 830명 등이다.

 기회균형선발전형은 102개 대학에서 3천438명을 선발한다.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특별전형으로 작년(2천934명)보다 504명 늘었다.

 전문계고교 졸업후 산업체에서 3년 이상 재직한 사람을 뽑는 재직자전형은 창원대·경원대·국민대·명지대·중앙대 등 5개 대학에서 353명을 선발한다.

 강릉원주대·경인교대·부산외국어대·국민대 등 36개대는 수시모집에서 특별전형만 실시한다.

 ◇학생부 반영 늘고 논술은 줄어=학교생활기록부를 100% 반영하는 대학이 전년보다 31개교 증가한 101개교로 나타났다.60% 이상 반영대학은 32개교다.

 수시모집에서는 논술을 실시하는 대학은 고려대·아주대·연세대 등 34개교로 전년도(37개교)보다 세 곳 줄었다.

 면접·구술고사를 20% 이상 반영하는 대학은 92개교로 작년과 같았지만 10% 이상 반영하는 학교는 20개교에서 8개교로 줄었다.5% 이상 반영하는 대학은 11개교다.

 ◇수험생 유의사항=수시모집에 복수로 합격한 학생은 등록기간(12월 13~15일) 내에 1개 대학에만 등록해야 한다.수시모집에 합격하면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다음 모집(정시,추가)에 지원할 수 없다.

 수시모집은 전형기간이 같아도 대학간 복수지원이 가능하다.입학 학기가 같은 2개 이상 대학에 이중 등록이 금지된다.

 2010학년도까지는 이중등록 및 복수지원 위반시에도 소명자료 등을 받아 최대한 구제했으나 2011학년도부터는 위반시 입학을 무효화하는 등 사후처리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대교협은 강조했다.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안전한 청소년 생활 환경 조성 앞장서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국민의힘, 서초2)은 지난 9일 서초구 반포2동 일대에서 열린 ‘청소년 유해환경 근절 캠페인’에 참석, 홍보물을 배포하며 청소년 보호 및 건전한 생활환경 조성에 적극 나섰다. 최근 청소년의 유해환경 노출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청소년의 술·담배 구매, 주점 출입 등 유해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이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마련된 이번 청소년 보호 캠페인에는 이숙자 위원장과 함께 서초구 반포2동, 방배경찰서, 서래 파출소, 청소년지도위원, 아동지킴이, 자율방범대 등 20여명의 지역사회 인사들이 참석했다. 앞서 이 위원장은 지난 6월에 열린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에서도 청소년들이 방학 기간에 유해식품에 무방비하게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서울시의 대응 체계 강화를 주문한 바 있다. 특히 마약 성분이 포함된 젤리나 고용량 카페인 등 해외 유해 식품이 온라인을 통해 국내에 유입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지금 필요한 정책은 예방 중심의 접근”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 위원장은 “청소년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thumbnail -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안전한 청소년 생활 환경 조성 앞장서

 서울=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