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정부와 미국 민간단체가 미국의 대문호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저택과 유물을 보존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AFP통신이 21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핀카비히아에서 작품을 집필 중인 헤밍웨이(왼쪽)와 핀카비히아의 외경. 핀카비히아박물관 홈페이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핀카비히아에서 작품을 집필 중인 헤밍웨이(왼쪽)와 핀카비히아의 외경. 핀카비히아박물관 홈페이지
●아바나서 20㎞… 134년 된 별장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헤밍웨이는 쿠바의 수도 아바나에서 20㎞ 떨어진 저택 ‘핀카비히아’(스페인어로 전망 좋은 집이라는 뜻)에서 20년 넘게 지냈다. ‘노인과 바다’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 등 명작들도 이곳에서 탄생했다.
쿠바의 국가문화유산사무소의 마르가리타 루이스 소장은 미국의 핀카비히아재단과 헤밍웨이 유적 보존과 복원에 협력하기로 정식 합의했다고 밝혔다.
1961년 헤밍웨이가 사망한 뒤 쿠바 정부는 핀카비히아를 박물관으로 지정했다. 지은 지 134년 된 저택은 오랫동안 풍상에 시달려 지붕은 새고 벽이 금 가고 나무기둥이 썩는 등 붕괴 위기에 처했지만 예산이 부족해 보수는 엄두도 내지 못했다.
헤밍웨이의 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핀카비히아재단은 쿠바와 40년간 경제교류를 단절한 미국 정부에게 예외적으로 저택 복원에 필요한 자금과 기술을 지원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쿠바와 긴장관계를 유지했던 조지 부시 전 행정부는 2004년 6월 헤밍웨이 저택이 복원되면 쿠바 공산정부의 관광수입이 늘 것이라며 이 요청을 거부했다.
그러나 버락 오바마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전부터 양국 사이의 문화교류가 증진됐고 이 덕분에 쿠바 정부와 재단 측의 협력에 탄력이 붙기 시작했다.
●편지·작품 초본 등 희귀 유물 보관
핀카비히아에는 헤밍웨이가 쓰던 옛 가구와 9000권의 장서, 예술작품, 유명인사와 주고 받은 편지와 작품 초본 등 희귀한 유물들이 보관돼 있다.
재단은 헤밍웨이 유적 보존에 200만~300만달러(약 23억~34억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0-01-2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