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5월 12일 서울 세종대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북한 인권단체 NK워치 주최로 열린 북한 해외파견 근로자 인권피해 실태 UN 청원서 제출을 위한 기자회견에서 외화벌이를 위해 쿠웨이트와 러시아에 파견됐던 탈북자들이 증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8일 북한이 쿠웨이트 건설현장에서 일하던 파견 노동자 수십 명이 집단 파업 등 물의를 빚자 이들을 강제 소환했다는 소식이 뒤늦게 전해졌습니다. 쿠웨이트 건설현장에서 일하던 북한 노동자들은 월급 대신에 고국으로 돌아가면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돈표를 주겠다는 현지 북한 당국자들의 제안에 반발해 지난해 12월 집단 파업을 일으켰다고 합니다. 제 경험으로는 매우 이례적인 일입니다. 순종에 길들여진 사람들이 오죽했으면 그랬을까 하는 마음입니다.
그동안 북한이 파견하는 해외근로자들 사이에서는 관리직과 노동직 간의 뿌리 깊은 갈등이 종종 회자되곤 했습니다. 탈북민들 중 러시아, 중국, 쿠웨이트, 레바논 등에서 근로자로 일하다가 탈출한 사람들의 말을 빌리면 밖으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 서로 간의 원한에 따른 폭행도 종종 있었답니다.
이번에 사건이 발생한 쿠웨이트는 한 낮의 평균기온이 섭씨 40~50도를 넘나드는 불구덩이 들입니다. 통칭 사우나로 묘사되곤 하는 데 간접 경험을 빌어 말하면, ‘폭염으로 숨을 쉴수조차 없다’고 합니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 북한에서 파견된 일반 노동직 근로자는 통금 시간(정오 12~오후 2시)까지도 일을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혹사당하다 보면 탈진해 쓰러지기는 게 다반사라고 합니다.
공사가 끝나고 북한으로 귀국한 일부는 원인모를 병을 앓다 대개 2~3년을 넘기지 못하고 죽기도 합니다. 제 친구 아버지는 이라크와 리비아에서 건설노동자로 5년 간 일하고 귀국한 뒤 2년도 채 못살았습니다. 그 친구의 어머니는 5년간 폭염속에서 진을 다 빨린 아버지가 일찍 죽었다고 늘 한탄했죠. 자기 자식들보고 굶어 죽어도 해외로 나가지 말 것을 당부했고 특히 아랍지역은 가지말라는 말을 늘 입에 달고 살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근로자들이 수명을 단축시키는 아랍지역에라도 가려는 것은 물론 돈을 더 벌기 위해서죠. 벌어들인 돈은 북한 당국과 일반 근로자가 7:3으로 나누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탈북민들 말로는 정해진 것이 없다고 합니다. 일단 돈을 받으면 북한 내 금융기관에 저축을 하라고 지시한 후 근로계약이 종료돼 북한으로 귀국하면 내규에 따라 번 돈을 일부를 돌려준다고 말은 하지만 지켜진 것을 본 적이 없다고 합니다. 제가 보기에도 대개 그럴 것 같아 보입니다.

특히 이번 사건이 발생한 지난해 12월은 북한이 지난 5월 개최한 제7차 당대회 운영자금을 위해 주민들의 충성자금을 각출하고, 강제모금을 하던 시기라 해외 근로자들에게도 예외 없는 헌금 강요가 이뤄졌겠죠. 아마도 북한 관료들은 이런 사실을 일방적으로 통보했을 겁니다. 그러자 노동자들이 이판사판 나섰겠죠.
문제는 앞으로도 이런 사건들이 빈번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유례없이 강경한 가운데 해외에 진출한 북한 식당들도 하나 둘씩 문을 닫는 상황에서 이제 남은 ‘돈줄’은 해외근로자들이 유일한 상황입니다. 이들이 당국에 의해 착취당해도 누가 나서 해결해 줄 수 도 없는 게 현실입니다.
그럼에도 고무적인 소식은 지난 7일 폴란드 외무부가 유엔 가입국으로는 처음으로 올해 초 북한의 핵실험 이후 현재까지 북한 노동자에 대한 입국 비자를 단 한 건도 발급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북한은 올해 5억 달러(5800억원) 송금을 목표로 해외에 근로자를 파견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40~50개 국가에 5~6만여 명의 북한 노동자가 연 2억~3억 달러(2290억~3430억원)를 북한으로 송금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김정은 입장에서는 ‘알토란’ 같은 돈이죠. 이 돈이 북한에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는다면 북한 정권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것입니다. ‘햄릿’에서 나오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죠.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