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노 요헤이 전 중의원 의장은 일본 자민당 총재를 지낸 대표적인 ‘합리적 보수파’로 꼽히는 거물 정객이다.
고노 전 의장은 와세다대학을 졸업한 후 1967년 정계에 입문해 14선 의원을 지내며 관방장관, 자민당 총재, 중의원 의장 등을 역임하고 2008년 은퇴했다. 일본 헌정 사상 최장수인 2029일 동안 중의원 의장을 맡았고 자민당 내에서 유일하게 총리에 취임하지 않은 총재라는 기록을 갖고 있다.
그는 1993년 관방장관으로 일본 정부를 대표해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을 공식 인정하고 사과와 반성의 뜻을 밝힌 ‘고노 담화’로 ‘역사와의 화해’를 위한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당시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는 고노 담화를 바탕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마음으로부터 깊은 반성과 사죄의 마음”을 표시했고 이후 일본 정부는 이 같은 입장을 계승해 왔다.
고노 전 의장은 2007년 아베 신조 당시 총리가 “군 위안부의 강제 연행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자 인터뷰를 통해 “지적(知的) 성실성이 없다”고 정면 비판했다. 그는 현 평화헌법을 지지하는 호헌론자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가 미국의 이라크 전쟁을 지지했을 때도 신중론을 견지했다.
1993년 8월 당시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이 일본 정부를 대표해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를 처음으로 인정하고 사죄를 표명한 공식 문서다. 일본 정부는 이를 통해 일본군 및 관헌의 위안부 관여와 징집, 사역에서의 강제를 인정하고 문제의 본질이 중대한 인권 침해임을 시인하고 사죄했다.
담화에는 “위안소는 당시 군 당국의 요청에 의해 설치됐고 위안소의 설치, 관리 및 위안부 이송에는 일본군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 감언, 강압 등에 의해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모집된 사례가 많았다”는 내용이 담겼다.
일본 정부는 또 담화에서 “역사 연구와 교육을 통해 이 문제를 오랫동안 기억하면서 동일한 과오를 결코 반복하지 않는다는 굳은 결의를 다시 한번 새롭게 표명한다”고 강조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고노 전 의장은 와세다대학을 졸업한 후 1967년 정계에 입문해 14선 의원을 지내며 관방장관, 자민당 총재, 중의원 의장 등을 역임하고 2008년 은퇴했다. 일본 헌정 사상 최장수인 2029일 동안 중의원 의장을 맡았고 자민당 내에서 유일하게 총리에 취임하지 않은 총재라는 기록을 갖고 있다.
그는 1993년 관방장관으로 일본 정부를 대표해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을 공식 인정하고 사과와 반성의 뜻을 밝힌 ‘고노 담화’로 ‘역사와의 화해’를 위한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당시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는 고노 담화를 바탕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마음으로부터 깊은 반성과 사죄의 마음”을 표시했고 이후 일본 정부는 이 같은 입장을 계승해 왔다.
고노 전 의장은 2007년 아베 신조 당시 총리가 “군 위안부의 강제 연행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자 인터뷰를 통해 “지적(知的) 성실성이 없다”고 정면 비판했다. 그는 현 평화헌법을 지지하는 호헌론자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가 미국의 이라크 전쟁을 지지했을 때도 신중론을 견지했다.
1993년 8월 당시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이 일본 정부를 대표해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를 처음으로 인정하고 사죄를 표명한 공식 문서다. 일본 정부는 이를 통해 일본군 및 관헌의 위안부 관여와 징집, 사역에서의 강제를 인정하고 문제의 본질이 중대한 인권 침해임을 시인하고 사죄했다.
담화에는 “위안소는 당시 군 당국의 요청에 의해 설치됐고 위안소의 설치, 관리 및 위안부 이송에는 일본군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 감언, 강압 등에 의해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모집된 사례가 많았다”는 내용이 담겼다.
일본 정부는 또 담화에서 “역사 연구와 교육을 통해 이 문제를 오랫동안 기억하면서 동일한 과오를 결코 반복하지 않는다는 굳은 결의를 다시 한번 새롭게 표명한다”고 강조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3-02-1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