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만델라데이… 주한 남아공 대사 노주코 글로리아 밤
“한국인들, 차별 없애려 노력”오늘 교민들과 복지시설 방문
“양국 경제 협력 확대 희망”
“관용과 타협의 만델라 정신이 확산되면 한국이 직면한 문제들을 푸는 데도 도움이 될 겁니다.”

남아공 대사관 제공
노주코 글로리아 밤 주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사가 국제만델라데이를 앞두고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남아공 대사관 집무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만델라 정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남아공 대사관 제공
남아공 대사관 제공
그는 18일 ‘국제만델라데이’를 앞두고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남아공대사관 집무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한반도의 긴장을 전 세계인들이 주목하고 있지만 누구도 전쟁이 일어나길 기대하지 않는다”면서 “한국이 만델라 정신을 지키고 매일을 만델라데이로 만드는 나라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국제만델라데이는 평생 민주화와 인권 증진에 헌신한 넬슨 만델라 전 남아공 대통령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유엔총회가 결의안을 통해 선포한 기념일이다. 그의 생일인 7월 18일에, 그가 67년간 인권을 위해 싸웠다는 점을 되새기며 67분간 봉사활동을 하자는 취지다. 남아공에서는 많은 단체나 개인들이 이날을 기부와 봉사 활동을 하며 보낸다. 밤 대사는 18일 대사관 직원 및 남아공 교민들과 함께 복지시설을 방문할 계획이다.
밤 대사는 “만델라는 ‘여러분의 손에 모든 게 달려 있다’는 얘기를 했다”면서 “인종차별, 성차별, 불의 등에 맞서 싸우며 우리 자신부터 이런 것들이 없는 사회를 만들자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밤 대사는 “한국인은 이미 만델라 정신을 실천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한국은 가난한 나라였지만 스스로의 노력으로 짧은 시간 내에 눈부신 경제적 발전을 이뤘다는 뜻이다.
밤 대사는 한국과 남아공의 관계에 대해서는 “양국 관계에서 중요한 건 경제 협력 분야로, 남아공과 한국이 더 협력해 서로 기회를 더 많이 주는 관계가 되길 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차관급인 양국 간 정책협의회를 장관급의 공동협의위원회로 발전시키고자 한다”면서 “그러면 양국이 더 많은 협력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아공은 6·25 참전국 중 하나로 1992년 우리나라와 수교를 맺었다. 지난해 기준 양국 간 교역액은 약 26억 8000만 달러(약 3조 284억원)로 아프리카 국가들 중에는 우리와의 교역 규모가 가장 크다.
북한과는 1998년 수교를 맺고 관계를 이어 왔지만 올해 초 4차 핵실험 이후에는 대북 제재에 동참하고 있다. 밤 대사 역시 “남아공은 북핵을 반대하며 제재 조치를 지지한다”면서 “핵은 군사적 목적이 아니라 에너지 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6-07-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