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희룡 제주지사
여권의 대권 ‘잠룡’ 중 한 명인 원희룡 제주지사가 중국의 반발을 사고 있는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와 관련해 “미국이 중국을 설득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한미군이 운용하는 무기인 만큼 한국보다 미국의 적극적인 설득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원 지사는 11일 오전 도청 기자실을 찾아 “사드는 우리가 만들고 관리하는 장비가 아니므로 (X밴드 레이다 등) 탐지반경이 얼마인지 이런 것들을 (우리 정부도) 미국의 이야기를 듣고 알고 있을 뿐”이라면서 “그렇다면 일차적으로 미국이 이 무기 시스템의 제원이 어떤지, 필요하면 검증을 하자든지 해서 중국이 우려하는 부분들을 안심시키고 설득할 책임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반대하는) 중국의 명분이나 논리는 한국의 정당한 방위 수요를 넘어선 것이라는 데 초점이 있다”면서 “이 부분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 지난번 중국의 왕이 외교부장도 미국 캐리 국무장관과 만났을 때 ‘우리를 설득해보라’고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원 지사는 “우리가 주권국가로서 결단을 내려야 하는 순간이 있을 수도 있다”면서도 “그렇지만 우리가 개발하지도 않은 무기 시스템 때문에 한국이 미국 편이냐 중국 편이냐 강요당하는 상황 자체는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를 놓고 미국과 중국, 중국과 한국이 충분히 대화했다면 그 이후 중국의 조치들에 대해서도 협상할 수 있었지만, 사드와 관련해서는 어떤 협상의 장치도 작동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후속 대응 조치를 협상 테이블로 끌어와 조율하기가 쉽지 않다고 원 지사는 분석했다.
원 지사는 “현재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나 군부, 외교 당국이 일관되게 미국과 한국을 향해서 우선 자신들을 설득시켜달라고 하고 있다”면서 “설득을 안 했으니 반대한다는 상당히 세련된 접근법을 취하고 있으므로 일단 그들의 요구가 충족되지 않고 강행되는 상황에 대해 (중국이) 결코 그냥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원 지사는 “사드가 일단 배치되면 이것을 다시 주한미군 밖으로 빼는 것은 미국이 결심하기 전에는 쉽지 않다”며 “중국이 당장 대응할 수도 있고, 사회 모든 방면에서 장기간에 걸쳐 대응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