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수 당시 연평부대 중대장
“연평도 포격도발 전에는 ‘적은 도발할 것이다’라는 막연한 생각을 가졌지만 그날 이후 ‘적은 반드시 도발한다’는 확신으로 바뀌었습니다.”
김정수 대위
김 대위는 “그날 중대원들은 최고의 용기를 보여 줬다”면서 “모든 피해 상황을 극복하고 일사불란하게 움직여 준 중대원들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적을 완전히 파괴하지 못한 점은 두고두고 아쉬워했다. 김 대위는 “당시 포격을 받은 중대의 상황이 미처 파악되지 않은 상황에서 ‘살아만 있어 달라’고 기원했고, 죽은 줄 알았던 중대원들의 음성이 무전을 통해 들려왔을 때 세상을 다 가진 듯 기뻤다”고 말했다.
북한의 도발 이후 13분 만에 대응사격이 이뤄졌다는 일각의 비판적 평가와 관련, 김 대위는 “단 한 명도 현장을 이탈하거나 두려움에 떨지 않았고 당당히 맞섰다”면서 “기습 포격에 장비 등의 피해를 입고도 단 한 명의 인명피해 없이 최단시간 내에 대응사격을 했다”고 일축했다.
실전을 경험한 군인들이 겪는 악몽과 환청 등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우려에 대해 김 대위는 “(PTSD는) 전혀 없다”면서 “연평부대 포7중대원이었다면 전투배치 훈련에 임할 때 울리던 차임벨 소리가 더 악몽 같을 것이다. 물론 (숱한 훈련들이) 적의 기습포격에 대응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으니 감수해야 할 고통”이라고 말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11-2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