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 院 구성 어떻게 될까
여야 3당의 신임 원내대표 선출 완료 이후 첫 시험대는 20대 국회 원(院) 구성 및 차기 국회의장직이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노랑-빨강·파랑… 넥타이에 담은 ‘협치’
새누리당 정진석(왼쪽) 원내대표가 5일 국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실에서 우상호 원내대표와 상견례를 겸한 회동을 마친 뒤 방을 나서고 있다. 이날 정 원내대표는 “우 원내대표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 문하생이었음을 고려해 넥타이를 김 전 대통령이 좋아했던 노란색으로 골랐다”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도 새누리당을 상징하는 빨강과 더민주를 상징하는 파랑이 교차하는 무늬의 넥타이를 맸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상임위원장 배분은 19대 국회 때 여야가 각각 나눠 가졌던 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가 우선 쟁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누리당은 그동안 국정 운영에 필수적이거나 국가 외교안보와 직결된 상임위는 집권 여당이 맡아야 한다는 논리를 펴 왔다. 운영위와 정보위, 국방위·외교통상통일위, 기획재정위 등이다. 운영위 소관 기관이 대통령비서실·국가안보실 등 청와대 핵심 부서인 이유에서 원내 2당으로 내려앉았어도 내줄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 새누리당은 국회선진화법 체제에서 번번이 법안 심사의 발목을 잡았던 법사위원장직도 욕심을 내고 있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5일 국방위, 외교통상위 상임위원장을 야당에 주기 어렵다는 지적에 대해 “야당도 외교안보·국방 문제의 중요성을 왜 못 느끼겠나. 수권정당을 바라보는데 더더욱 (국방위, 외교통상위를) 경험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며 양보 가능성을 내비쳤다.
반면 더민주는 원내 1당인 만큼 운영위원장을 사수해야 하고 관례적으로 제1야당 몫이었던 법사위원장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더민주로선 “법사위를 내줄 테니 운영위를 달라”고 새누리당의 아킬레스건을 요구하며 다른 상임위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또 더민주는 외교·안보 분야보다 경제민주화 정책 추진을 위해 경제 분야 상임위원장직을 거머쥐어야 한다는 의지가 강하다.
국민의당은 상임위원장직 ‘최소 2석 이상’을 기대하고 있다. 경쟁이 덜 치열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산업통상자원위 등을 노리고 있다. 호남권 의원이 다수인 만큼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농해수위 확보에 주력하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일부 지역구 의원들의 주장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공룡 상임위인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상이한 분야를 욱여넣었다는 지적이 높았던 환경노동위의 분리설도 나오면서 여야가 ‘상임위 쪼개기’로 위원장직 나눠 먹기 협상을 할 가능성도 있다.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도 전날 “교문위를 교육위, 문화위로 분리하는 게 생산적 국회에 맞는다”고 밝혀 협상 추이가 주목된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6-05-06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