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열린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부산지방경찰청 국정감사에서는 3일 발생한 부산 실탄사격장 총기·실탄 탈취사건을 둘러싼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새정치민주연합 임수경 의원은 “부산경찰청이 2013년부터 최근까지 실탄사격장을 100차례나 점검했는데 경찰의 사격장 안전관리와 점검이 얼마나 부실했으면 이번에 총기와 실탄이 탈취되는 사건이 발생했겠느냐”며 “법과 규정이 미비하다는 핑계를 대며 경찰이 허술하고 엉터리로 사격장 관리를 하는 것은 아주 무책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민기 의원은 “부산에 있는 실탄사격장 4곳에만 총기 125 정과 실탄 12만 발이 있고 전국의 실탄사격장에는 총기 600∼700여 정에 실탄만 50만 발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사격장 총기 관리가 총체적으로 부실해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사격장을 털어 총기와 실탄을 탈취할 수 있다는 점은 정말 심각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같은 당 진선미 의원도 “실탄사격장 관련 법률이 매우 부실한데 그나마 사격장 안전사고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이번 사건처럼 총기 탈취문제에 관해선 거의 무방비 상태”라며 “사격장 관련 법률을 보완하고 사격장 안전관리 대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3일 발생한 부산 실탄사격장 사건의 신고 접수 시간을 둘러싼 혼란도 도마 위에 올랐다.
새정치민주연합 노웅래 의원은 “경찰 상황보고서를 보면 사건 접수시간이 오전 9시 39분, 40분, 43분으로 수차례 변경돼 혼란스럽다”며 “경찰이 사건 신고접수 시간을 조작한 것 아닌가”라며 따졌다.
새누리당 강기윤 의원도 “경찰의 신고접수 시간이 혼선을 빚어 국민에게 혼란을 준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의원들의 지적이 이어지자 부산경찰청은 부산 실탄사격장 총기 탈취사건의 최초 신고접수 시간을 3일 오전 9시 38분으로, 최초 순찰차 도착시간을 9시 42분으로 바로 잡았다.
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 임수경 의원은 “부산경찰청이 2013년부터 최근까지 실탄사격장을 100차례나 점검했는데 경찰의 사격장 안전관리와 점검이 얼마나 부실했으면 이번에 총기와 실탄이 탈취되는 사건이 발생했겠느냐”며 “법과 규정이 미비하다는 핑계를 대며 경찰이 허술하고 엉터리로 사격장 관리를 하는 것은 아주 무책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민기 의원은 “부산에 있는 실탄사격장 4곳에만 총기 125 정과 실탄 12만 발이 있고 전국의 실탄사격장에는 총기 600∼700여 정에 실탄만 50만 발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사격장 총기 관리가 총체적으로 부실해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사격장을 털어 총기와 실탄을 탈취할 수 있다는 점은 정말 심각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같은 당 진선미 의원도 “실탄사격장 관련 법률이 매우 부실한데 그나마 사격장 안전사고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이번 사건처럼 총기 탈취문제에 관해선 거의 무방비 상태”라며 “사격장 관련 법률을 보완하고 사격장 안전관리 대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3일 발생한 부산 실탄사격장 사건의 신고 접수 시간을 둘러싼 혼란도 도마 위에 올랐다.
새정치민주연합 노웅래 의원은 “경찰 상황보고서를 보면 사건 접수시간이 오전 9시 39분, 40분, 43분으로 수차례 변경돼 혼란스럽다”며 “경찰이 사건 신고접수 시간을 조작한 것 아닌가”라며 따졌다.
새누리당 강기윤 의원도 “경찰의 신고접수 시간이 혼선을 빚어 국민에게 혼란을 준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의원들의 지적이 이어지자 부산경찰청은 부산 실탄사격장 총기 탈취사건의 최초 신고접수 시간을 3일 오전 9시 38분으로, 최초 순찰차 도착시간을 9시 42분으로 바로 잡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