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발사·핵실험 강행은 중대 도발…자중해야”일주일만에 최고위 공개발언…재신임 등은 일절 언급안해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18일 “북한이 예고대로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을 강행하면 이는 명백한 유엔 결의 위반으로, 또다시 한반도에 긴장을 몰고오는 중대한 도발”이라며 “북한의 자제를 촉구한다”고 말했다.문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에서 “북한의 로켓 발사 예고 및 핵실험 언급은 모처럼 조성된 남북간 대화 국면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북한도 이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평화 조성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 북한은 자중하면서 남북대화를 살려 나가야한다”며 “더이상 도발의 방법으로 국제사회를 위협하고 스스로 고립을 자초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우리 정부에 대해서도 “일이 터지고 강경 수습을 하는 건 하책”이라며 “미사일 발사 실행 전에 먼저 북에 대화를 제의하며 예방적 대화와 사전적 조치로 능동적 상황관리를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문 대표는 9·19 공동성명 10주년을 하루 앞둔 이날 “9·19 공동성명은 6자 회담을 통해 북한의 모든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의 폐기와 함께 한반도 평화체제와 북미관계 정상화를 공약 대 공약, 행동 대 행동으로 포괄적이면서 단계적으로 시행하기로 합의한데 큰 의미가 있다”며 “지금도 북핵 문제의 완결한 해결은 이 방법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즉각 남북간 대화로 도발을 막고 미·중과 협력해 6자회담을 재개하고 9·19 합의 정신을 되살려 미사일과 북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자신의 재신임 문제로 당내 논란이 격화된 상황 등을 감안, 북한 문제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재신임 문제 등 정치현안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문 대표가 최고위원회의 회의에서 공개 발언을 한 것은 11일 이후 일주일 만이다.
문 대표는 지난 9일 재신임투표 카드를 던진 뒤 재신임 문제를 둘러싸고 내분이 극에 달하자 지난 14일 비주류에 대한 항의 표시로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했으며, 16일에는 공개회의 불참 입장을 밝히면서 회의가 비공개로 진행됐다.
당의 한 관계자는 “오늘도 재신임 이슈가 진행 중인 만큼 공개발언을 아예 안하는 방안도 한때 검토했으나, 북한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니만큼 북한 문제에 한해 발언을 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