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지원제 개편 약속…24시간 비상경제 체제 지시
NSC 등 ‘北도발 대응’ 논란에“매뉴얼대로… 문제 없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황교안(왼쪽) 대통령 권한대행이 13일 서울 종로구 당주동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외국인투자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주한 외국상공회의소 대표 및 외국인투자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회의 발언을 듣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황 권한대행은 “24시간 비상경제 대응체제를 갖추고 금융·외환·실물시장을 면밀히 점검, 대응하고 있다”면서 “외국인 투자기업은 우리 경제에 대해 믿음을 갖고 적극적으로 투자해 달라”고 강조했다. 또 “신기술 투자에 대한 조세감면 확대 등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외국인 투자비율 제한 업종에 대한 영향평가를 실시해 외국인 투자지원 제도를 개편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자리에는 존 슐트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표 등 주한 외국상공회의소 대표 9명과 외국인 투자기업 최고경영자 13명 등 22명이 참석했다.
황 권한대행은 오후에는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과학기술인 15명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경제가 어렵지만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면 돌파구를 찾을 수 있다”면서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는 과감하게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황 권한대행 측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황 권한대행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직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지 않은 것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 데 대해 “안보실장의 보고를 받고 NSC 상임위를 개최해 강력하게 대응하도록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또 “북한의 핵실험이나 장거리미사일 발사의 경우 의장 주재 NSC가 열리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매뉴얼대로 상임위가 열린다. 대응에 문제가 없었다”며 “오늘 황 권한대행의 추가 조치는 없다”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7-02-1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