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36년 만의 노동당 대회를 6일 개막한 가운데 한미 외교장관이 7일 전화 협의를 하고 북한 핵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7일 오전 9시께(한국시간)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과 통화를 하고 북핵·북한 문제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외교부 당국자가 밝혔다.
한미 외교장관은 북한 당대회 동향 관련 평가를 공유하고, 핵 문제에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는 북한에 국제적 압박을 지속 강화할 방안을 중점적으로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윤 장관은 이날 방영될 예정인 ‘KBS ’뉴스라인' 인터뷰에서 “북한의 당대회 진행 경과에 대한 분석을 하고 핵실험, 미사일 발사와 관련된 여러 조율을 할 것”이라며 “특히 대북 압박 조치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당 대회 관련 상황을 전혀 공개하지 않는 상황에서 일부 외신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핵·미사일 개발 성과를 실적으로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이번 통화는 미국 측에서 먼저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7일 오전 9시께(한국시간)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과 통화를 하고 북핵·북한 문제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외교부 당국자가 밝혔다.
한미 외교장관은 북한 당대회 동향 관련 평가를 공유하고, 핵 문제에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는 북한에 국제적 압박을 지속 강화할 방안을 중점적으로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윤 장관은 이날 방영될 예정인 ‘KBS ’뉴스라인' 인터뷰에서 “북한의 당대회 진행 경과에 대한 분석을 하고 핵실험, 미사일 발사와 관련된 여러 조율을 할 것”이라며 “특히 대북 압박 조치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당 대회 관련 상황을 전혀 공개하지 않는 상황에서 일부 외신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핵·미사일 개발 성과를 실적으로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이번 통화는 미국 측에서 먼저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