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도 金도 ‘공천 트라우마’… 그래서 서로 못 믿는다

朴도 金도 ‘공천 트라우마’… 그래서 서로 못 믿는다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5-10-01 23:44
수정 2015-10-01 2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저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2008년 친이명박계의 친박근혜계 ‘공천 학살’ 당시 박근혜 한나라당 의원).

“탈당하지 않고 당에 남아 백의종군하겠다”(2012년 공천 컷오프 위기 당시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

공천 룰을 놓고 사실상 대립하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역설적인 공통점은 ‘공천 트라우마’가 큰 정치인이라는 점이다.

박 대통령은 친이계와 실세 이방호 사무총장이 주도했던 2008년 18대 공천 때 친박계가 대거 탈락하는 아픔을 겪었다. 당시 박 대통령은 “나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며 울분을 드러냈다. “꼭 살아서 돌아오라”며 내쳐진 친박계를 위로했다. 대거 탈당한 친박계는 친박연대와 친박무소속연대를 구성해 독자 출마하며 친이계에 맞섰다. 그때 친박무소속연대를 이끌었던 좌장 격이 김 대표였다.

김 대표는 지난 19대 총선에서 또다시 공천 배제되는 곤욕을 치렀다. 정홍원 공천심사위원장이 “헌법”으로 규정했던 ‘현역 하위 25% 컷오프’ 룰에 걸려 공천 탈락 위기에 처하자, 탈당 대신 ‘불출마’라는 용단을 내렸다. 당시 컷오프 심사의 공정성을 놓고 뒷말이 나온데다 김 대표의 ‘탈당 후 창당설’까지 돌면서 재창당 수준의 당명 개정까지 한 새누리당에는 불똥이 떨어졌다. 김 대표 보좌진들도 탈당 선언문과 불출마 선언문 두 장을 모두 준비해 놓고 있었다. 그러나 고심 끝에 김 대표는 불출마 선언문을 집어들었다.

두 사람이 유독 아픈 ‘공천 과거사’에 시달리다 보니 생사를 가르는 공천 룰에 있어서만큼은 그 누구도 믿기 힘들어졌다는 것이 주변 인사들의 전언이다. 대통령에 오르기까지 숱한 배신의 세월을 견딘 박 대통령은 공천 룰에 있어서도 ‘원칙론자’다. 지난 19대 총선 때도 ‘시스템 공천’을 내세웠었다. 김 대표가 “전략공천은 절대 안 된다”고 강조하는 배경에는 연이어 두 번이나 칼질당했던 트라우마도 적잖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공천 원칙의 순수성’에 대한 서로의 믿음이 충돌하면서 이번 갈등이 불거졌다는 게 정치권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5-10-0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