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공무원 연금 개혁을 위한 국민대타협기구의 활동 시한이 2주 남은 14일 야당의 협력을 거듭 촉구했다.
특히 야당이 연금 개혁에 대한 자체 대안은 내놓지 않은 채 소득대체율을 50%로 인상하자고 새롭게 제안하자 국가 재정은 아랑곳하지 않고 공무원 표만 의식한 무책임한 태도라며 실제 개혁 의지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공무원의 연금 기여율에 대한 변동 없이 현재 받는 월급의 절반 수준을 퇴직 후 연금으로 지급할 경우 국민 세금이 더욱 투입될 수밖에 없다는 게 새누리당의 주장이다.
새누리당 민현주 원내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타협기구가 개혁안을 만들면 국회 특위가 그 안을 받아서 병합 심의해 오는 5월2일 본회의에서 통과시키기로 한 합의를 지켜야 한다”면서 “최종 대안을 내야 할 시점에 소득대체율 운운하는 것은 원점으로 돌아가자는 얘기고, 개혁할 의지가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 원내대변인은 또 “4월 재·보궐선거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이 공무원 눈치 보기에 급급해서 개혁안 처리를 미루는 것은 국가의 미래를 포기하는 무책임한 행태”라고 비판했다.
다만 새누리당 내에서도 합의안 마련에 실패할 경우 정부·여당 설계대로 가야 한다는 강경파와, 최대한 특위에서 여야 합의를 도출해 야당을 끌고 가야 한다는 협상파가 엇갈리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원내지도부는 협상 추이를 살핀 뒤 공무원연금 개혁안의 내용과 처리 방법을 놓고 정책 의원총회 개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특히 야당이 연금 개혁에 대한 자체 대안은 내놓지 않은 채 소득대체율을 50%로 인상하자고 새롭게 제안하자 국가 재정은 아랑곳하지 않고 공무원 표만 의식한 무책임한 태도라며 실제 개혁 의지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공무원의 연금 기여율에 대한 변동 없이 현재 받는 월급의 절반 수준을 퇴직 후 연금으로 지급할 경우 국민 세금이 더욱 투입될 수밖에 없다는 게 새누리당의 주장이다.
새누리당 민현주 원내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타협기구가 개혁안을 만들면 국회 특위가 그 안을 받아서 병합 심의해 오는 5월2일 본회의에서 통과시키기로 한 합의를 지켜야 한다”면서 “최종 대안을 내야 할 시점에 소득대체율 운운하는 것은 원점으로 돌아가자는 얘기고, 개혁할 의지가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 원내대변인은 또 “4월 재·보궐선거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이 공무원 눈치 보기에 급급해서 개혁안 처리를 미루는 것은 국가의 미래를 포기하는 무책임한 행태”라고 비판했다.
다만 새누리당 내에서도 합의안 마련에 실패할 경우 정부·여당 설계대로 가야 한다는 강경파와, 최대한 특위에서 여야 합의를 도출해 야당을 끌고 가야 한다는 협상파가 엇갈리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원내지도부는 협상 추이를 살핀 뒤 공무원연금 개혁안의 내용과 처리 방법을 놓고 정책 의원총회 개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